우리나라의 요약해고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의 요약해고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5 23:15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의정리해고에대한고찰.hwp
④ 따라서 사업의 양도?인수?합병의 경우라도 단순한 주력업종선정을 위한 타부문사업을 양도하거나 흑자기업을 양도하는 경우처럼 경영악화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기업의 인수?합병 등이 있더라도 인원삭감의 당위성이 전혀 없는 경우 등은 해당되지 아니한다.우리나라의,정리해고에,대한,고찰,-,우리나라의,정리해고,제도,법학행정,레포트
순서
우리나라의 요약해고에 대한 고찰
우리나라의 정리해고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의 정리해고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의 정리해고 제도법학행정레포트 , 우리나라의 정리해고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의 정리해고 제도
설명
Download : 우리나라의정리해고에대한고찰.hwp( 66 )
우리나라의 요약해고에 대한 고찰 - 우리나라의 요약해고 제도
레포트/법학행정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요점해고 제도
Ⅰ 요점해고의 의의 및 취지
1. 우리나라의 법 규정사용자는 경영상 이유에 의하여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근로기준법 제31조 제1항). 이와 같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에 의한 해고를 경영상 이유에 의한 고용조정 또는 요점해고라 한다.
③ 또한 긴박한 경영상의 위기는 회사 전체의 경영사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2. 취지
① 최근 급변하는 環境(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생존책략의 수단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확보가 요청되고 있다아
② 그러나 요점해고는 통상해고와는 달리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의해 근로자의 귀책사유없이 경영상의 필요에 의하여 실시되고 그 해고가 집단적?대량적으로 행해진다는데 문제점(問題點)이 있다아
② 따라서 요점해고의 당위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그 해고가 사용자의 자의적인 것이 되지 않도록 엄격한 법해석이 요구된다 하겠다.
② 이 경우에도 지속적인 기업경영악화가 전제되는 한도 내에서만 인정되어야 하며, 일시적인 경영상태의 악화와 장래의 기업실적의 증대를 도모하고자 행한 요점해고는 긴박한 경영상의 당위성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조는 사용자의 해고남용으로부터 근로자의 생존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의 법률적 기준을 명확히 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아
Ⅱ…(skip)1) 학설의 대립
① 도산회피설
② 감량경영설
③ 합리적 당위성설
2) 판례의 경향
① 기존 판례
② 최근 판례
3) 검토意見
① 기업의 지속적인 영업성적의 악화 등에 의해 경영합리화 조치의 일환으로 생산성향상 및 경쟁력의 회복을 위한 작업형태의 변경?신기술의 도입?기술혁신에 따른 기업구조조정 등을 이유로 한 인원감축은 예외적으로 인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