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고려사절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1 18:32
본문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hwp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대한 글입니다.고려사와고려사절요 , 고려사 고려사절요인문사회레포트 ,
고려사 고려사절요
순서
Download : 고려사 고려사절요.hwp( 55 )
고려사와고려사절요
,인문사회,레포트
고려사&고려사절요에 대한 글입니다. 『고려사』의 경우는 세종이 큰 influence을 주었다. 『절요』의 편찬자들도 역시 춘추관을 담당기구로 하는 조직을 구성하였고, 그 편찬자들의 대표는 김종서였다. 『고려사』에는 세종이 주장했던 직서주의, 기록보전주의 등의 원칙이 반영되었다.
한편, 公式(공식)적인 인적구성과 별도로 실질적으로 두책의 편찬에 큰 influence을 끼친 인물에는 차이가 있었다.
『고려사』와『절요』의 편찬자들은 편찬시기가 단기간 내에 바로 접속되어 있고, 둘 모두 춘추관이라는 기구를 통해 편찬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많이 중복이 되었다. 이런 사실은 두 책의 성격에 적지 않은 influence을 줄 수 있따 그래서 두 책에는 그 만큼 공통적인 기반도 존재한다.
2. 편찬자
『고려사』의 편찬자들은 김종서와 정인지가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인 것을 비롯하여 모두 춘추관직을 가지고 춘추관을 담당기구로 하는 조직을 구성하였다. 반면 세종 사후에 착수된 『절요』는 김종서 등 편찬에 참여한 신료들의 history(역사) 인식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따 그 당시 김종서는 정치적으로도 실권을 잡고 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에 culture전통에 대한 비판강화, 여말정치사를 개국공신쪽에 비중을…(투비컨티뉴드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