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운에 반영된 어음alteration(변화) 양상 / 增韻 에 반영된 어음alteration(변화) 양상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6 05:55
본문
Download :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hwp
增韻 의 연원을 말하려면 韻略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goal)는 增韻 의 어음체계를 分析하여 현재까지의 평가와는 달리 본 韻書의 편찬 당시까지의 漢語 語音의 變化(변화)상을 일政府분 반영하고 있어서 中古音 특히 宋代의 어음체계를 연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임을 밝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의 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한 일차 작업으로 연구의 대상을 좁혀서 增韻 의 增入字로 한정하고 그에 나타난 어음變化(변화) 양상을 고찰해보려고 한다. 增韻 은 宋代의 관운서인 禮部韻略 을 저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切韻계열의 韻書이다.
1. 연구 목적
2.3 增韻의 增修와 互注
2.1 증운의 연원
2.2 增韻의 판본과 체제
3.2 知租와 照組의 합류
3.1 非母와 敷母의 합류
설명
Download :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hwp( 97 )
增韻 에 반영된 어음變化(변화) 양상
增韻 에 반영된 어음alteration(변화) 양상 - 增入字를 중심으로- 1. 연구 목적 ...
2.1 增韻의 연원
- 增入字를 중심으로-
1. 연구 목적
증운에 반영된 어음alteration(변화) 양상 / 增韻 에 반영된 어음alteration(변화) 양상 -
3. 增入字에 반영된 어음變化(변화)
2. 增韻 의 연원과 체제
〈 目 次 〉
4. 결론





3.4 예외의 처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2. 增韻의 연원과 체제
增韻 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 - 增入字를 중심으로- 1. 연구 목적 ...
3.3 照組와 日母의 혼절
증운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 / 增韻 에 반영된 어음변화 양상
增韻 의 원래 명칭은 增修互注禮部韻略 이며, 명칭이 암시하다시피 禮部韻略 을 저본으로 하여 만든 南宋代의 韻書이다. 韻略 은 廣韻 과 같은 시기인 1007년에 廣韻 중의 상용자와 주석을 추려서 펴낸 廣韻 의 간축본이다. 그 이유는 첫째, 체제상 廣韻 을 답습하고 있고, 둘째 禮部韻略 과 같은 관운서여서 어음 기술에 있어 현실성보다는 규범성이 강할 것이라는 추측 때문으로 보인다. 漢語 音韻史 연구에 있어서 이 韻書는 그 동안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여 왔다. 이 韻書가 출간되고나서 30년 후인 1037년에 宋祁, 賈昌祖 등이 韻略 과 廣韻 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자, 당시 왕실은 丁度 등으로 하여금 두 책을 수정하게 하였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이 集韻 과...
參考文獻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