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1 11:49
본문
Download : 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hwp
한문을 이해하려면 구결을 정확히 달아야 하기 때문에 옛날 한문의 학습에는 구결을 중시하였다. 예컨대 “國之語音이 異乎中國@[ㅎㆍ]야 與文字로 不相流通@[ㅎㆍㄹ]@[ㅆㆍㅣ]”(훈민정음)에 쓰인 ‘이, @[ㅎㆍ]야, 로, @[ㅎㆍㄹ]@[ㅆㆍㅣ]’ 등이다.
2. 구결 문자에 대하여
한국인이 한문을 읽을 때는 문맥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구절마다 국어의 조사, 접사 등, 이른바 기능어를 삽입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Download : 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hwp( 20 )
2. 구결 문자에 대하여
3. 순독구결(順讀口訣)=음독구결
1. 구결이란
4. 석독구결(釋讀口訣)=훈독구결=역독구결
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 차이점
참고문헌
6. 음독(순독)구결과 석독(역독)(훈독)구결의 차이점 비교
1. 구결이란
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 차이점
구결문자,음독구결,훈독구결,역동구결,순독구결
순서
구결의 음독구결과 석독구결의 차이점
한문을 읽을 때에 문맥을 밝히기 위하여 한문의 구두 사이에 들어가는 우리말. 토(吐)라고도 한다. 원전에는 없는 이들 기능어가 구결이다. 吐 또는 懸吐라고도 한다. 구결은 표기되지 않고 읽을 때만 나타나는 일이 있다 그러나 경전이나 교화서의 경우에는 보통 한글이나 한자로 표기된다된다. 이들은 대부분 조사이거나 ‘하다, 이다’의 활용어이다. 표기는 한글이나 이두와 같이 차용(借用)한 한자로 하였는데, 행간에 작은 글씨로 쓰기 때문에 차용한 한자는 획수를 최소한으로 줄인
5. 음독(순독)구결과 석독(역독)(훈독)구결
다. 구결은 한문을 읽을 때에만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초학자를 위한 학습서에는 행간에 표기하여 인쇄하거나 붓으로 써 넣었다. 국어사연구에 이용되는 구결은 후자에 국한된다된다. 한문에 구결을 넣는 일을 ‘구결을 달다, 토를 달다, 현토(懸吐)하다, 현결(懸訣)하다’ 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