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歷史(역사)회 간호理論(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5 16:13
본문
Download : 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역사.hwp
일단 환자로 의심된 사람들은 모두 같은 Cause 에 의해 발병되었음이 확인되어야만 유행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아
레포트 > 의학계열
** 유행곡선 ; Y축=발병인수 X축=시간(日)(역학과 건강관리 p162)
1) 단일폭로 - 일산형의 유행곡선(정규분포), 폭발적
data(資料)원으로 전염병 신고서, 사망진단서, 병원입원 및 외래환자의 의무기록과 병리검사기록, 직장이나 학교의 병결기록, 산업장 병결계 등을 이용한다.설명
3. 유행data(資料)의 수집 및 분석
2. 유행의 확인
; 진단이 확인된 환자의 수가 과거 몇 년간 같은 시기에 발생했던 수, 즉 통상적으로 존재하던 토착성 발생수준인가, 아니면 그 이상의 수인 유행적 발생수준인가를 판단.
1. 진단의 확인 : 신고된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단을 확인하는 것이 유행조사의 시발점이다. 예를 들어 2명의 폴리오 환자가 발생한 경우하든가 콜레라와 같이 평상시에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 같은 것은 한 예가 발생해도 유행으로 간주한다.
** 환자의 발생시간을 정확히 기술해 놓은 것은 질병의 잠복기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첫 환자의 발생과 마지막 환자의 발생기시는 최단잠복기와 최장잠복기의 범위안에 속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보건소
‘역학곡선’은 글로 기술해 놓은 것보다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① 시간별 특성(特性) ; 시간의 단위는 질병에 따라 결정 - 시간, 일 , 주, 월, 년급성질환일 때에는 일 혹은 주 단위가 보통이다. 일단 환자로 의심된 사람들은 모두 같은 원인에 의해 발병되었음이 확인되어야만 유행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다.
** 유행을 정의하는데 불현감염과 현성감염의 빈도를 고려한다.
역학단계,역학연구방법,간호이론,역학
순서





; 신고된 환자뿐만 아니라 미처 신고되지 않은 환자들도 임상소견을 관찰하고 필요한 검사물을 채취하여 진단을 확인한다. ; 신고된 환자뿐만 아니라 미처 신고되지 않은 환자들도 임상소견을 관찰하고 필요한 검사물을 채취하여 진단을 확인한다. --->보건소
Download : 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역사.hwp( 71 )
공통감염원일 경우 ; 폭로된 사람수에 따라 잠복기 이후에 환례가 발생하므로 불규칙한 곡선의 모양
2) 2차․3차의 파상적 전파 - 폭로가 간헐적, 불규칙한 모양의 곡선, 2차 및 3차 환례들이정점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발생
개별감염원일 경우 ; 공통감염원일때보다 장기간에 걸쳐 발생
역학단계 및 역학연구방법, 주요지歷史(역사)회 간호理論(이론)
1. 진단의 확인 : 신고된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단을 확인하는 것이 유행조사의 시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