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3:58
본문
Download :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hwp
]
4쪽
노래를 지어 잣나무에 붙였더니 나무가 갑자기 말라버렸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뒷날에 내가 만약 그대를 잊는다면 저 잣나무가 증거가 될 것이다. 왕의 주변에는 진정한 신하가 없어서 왕도 신충이 필요했었다.
[→어떻게 원망하나? 전제 군주시대인데. 원망한 대상은 왕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신충은 벼슬을 하여 왕을 보호해야 하는데, 자기 자신이 세력이 없어서 왕이 부르지 조차 못한 것이다.
순서
Download :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hwp( 21 )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왜 약속했나? 충신이 신충이라면 태자 시절의 효성왕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따 그렇기에 약속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도피의 의미가 아니다. 그렇기에 신충 또한 사에 들어간 이유가 어떠한 목적을 위해서였을 것이다. 몇 달 후에 효성왕은 즉위하여 공신에게 상을 주면서 신충을 잊고 등급에 넣지 않았다.]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821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C%82%BC%EA%B5%AD%EC%9C%A0%EC%82%AC%EC%9D%98%20%EC%8B%A0%EC%B6%A9%EA%B4%98%EA%B4%80%20%ED%92%80%EC%9D%B4-8210_01.gif)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821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C%82%BC%EA%B5%AD%EC%9C%A0%EC%82%AC%EC%9D%98%20%EC%8B%A0%EC%B6%A9%EA%B4%98%EA%B4%80%20%ED%92%80%EC%9D%B4-8210_02_.gif)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821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C%82%BC%EA%B5%AD%EC%9C%A0%EC%82%AC%EC%9D%98%20%EC%8B%A0%EC%B6%A9%EA%B4%98%EA%B4%80%20%ED%92%80%EC%9D%B4-8210_03_.gif)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821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6/%5B%EA%B3%A0%EC%A0%84%EB%AC%B8%ED%95%99%5D%20%EC%82%BC%EA%B5%AD%EC%9C%A0%EC%82%AC%EC%9D%98%20%EC%8B%A0%EC%B6%A9%EA%B4%98%EA%B4%80%20%ED%92%80%EC%9D%B4-8210_04_.gif)

설명
신충괘관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고전문학]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신충은 일어나서 절했다.]
삼국유사의 신충괘관 풀이
다.”
신충은 원망스러워서
효성왕이 잠저(왕이 되기 전에 사는 집)에 있을 때 어진 선비 신충과 대궐 뜰의 잣나무 아래에서 바둑을 두었는데, 언젠가 신충에게 말했다. 신충을 등급에 넣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삼국유사 피은편에 실려 있따 피은이란 말은 세상을 피해 숨어들어간다는 뜻이다. 피은편에 나오는 인물들은 종교를 위해서 산에 들어간 승려라든지, 자책 때문에 산에 들어간 벼슬아치 등이다.]
[→왜 잊었나? 잊은 게 아니다. 신충이 세력이 없었기 때문에 왕은 그를 등용하고 싶어도, 주위의 신하들이 세력이 없는 신충을 등용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세력이 없는 자기 자신을 원망한 것이다. 목적이 있어서 산에 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