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론] 이태준의 「까마귀」- 까마귀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7:29
본문
Download : 까마귀 작품론.hwp
까마귀는 검은 빛깔과 함께 그 울음소리가 흉측스럽다. 아침 출근길에 제일 꺼리는 것이 까마귀의 울음소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소설의 title(제목)이 까마귀인 만큼 까마귀의 상징성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따





다. 그래서 까마귀 烏자에는 눈이 없다. 조동민, 「시조문학의 상징법연구 (5) - 까마귀를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논문집』, 1987, 31쪽 참조.
A+ 받은 과목입니다~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처럼 까마귀를 혐오스럽게 형상화하여 보는 것이 우리의 전통적인 시각이었다. 예를 들면, 까마귀가 울면 사람이 죽거나 불행한 일을 당한다는 뿌리 깊은 통념이 바로 그것이다.
무릇 title(제목)이란 그 작품 전체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온 몸이 검은 털로 뒤덮여 눈코를 구별할 수도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머리 위에서 까마귀가 울거나 집 앞 감나무에서 까마귀가 울면 재수 없다 하여 침을 뱉거나 까마귀를 쫓아서 액막이를 하려고 한다.
까마귀, 이청준, 상징성
A+ 받은 과목입니다~
Download : 까마귀 작품론.hwp( 69 )
순서
[현대소설론] 이태준의 「까마귀」- 까마귀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전통적으로, 우리 민족에게 까마귀는 불길한 새로 알려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