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적(詩的) 사실주의의 희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9 17:43
본문
Download : 시적(詩的) 사실주의의 희곡.hwp
폴커쿨로츠는 폐쇄 희곡과 개방 희곡의 구별을 위해 크게 사건진행(Handlug), 시간(Zeit), 공간(Raum), 인물(Person), 구성(Komposition), 언어(Sprache)로 나누어 두 양식간의 상이점을 규명하고 있는데 그의 이론(理論)과 그밖에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사항들을 종합하여 이를 요약 정리(arrangement)하면 다음과 같다.(여기에는 어느 것도 부가될 수도, 어떤 부분도 삭제될 수도 없다.
① 폐쇄 희곡은 닫혀진 세계, 즉 하나의 세계 그 자체를 묘사하며 단지 세계의 한 부분만이 전개된다 이 것은 그러나 자체로서 닫혀지고 완결되어 있으며 관념적인 전체성으로서 전체를 대표하는 것으로 나 타난다. 여기에 새롭고 두드러진 관점들을 바탕으로 희곡에 있어서의 폐쇄 형식과 개방 형식을 비교적 뚜렷하게 구별짓고 있는 폴커 쿨로츠(Volker Klotz)의 이론(理論)을 중심으로 두 형식간의 상이점을 비교해 보겠다.)
개방희곡은…(투비컨티뉴드 )② 폐쇄적 efficacy는 사건, 공간, 시간의 통일에 바탕을 두고 있다(집중과 축약의 원리).
③ 폐쇄 희곡에서는 advantage을 지나 goal(목표) 를 향해 급격히 치닫는 종결 지향 운동이 지배적이다(관점의 원형화 원리). 이 원형·나선형 운동은 긴장을 일으켰다가 해소한다.
④ 폐쇄 형식에서는 발단, 정점, 결말을 지닌 정연하게 연속되는 전개에 맞는 확고한 틀로서 계층적으로 연결되는 막의 구성 원리가 특징적이다. 폐쇄 희곡에서는 따라서 통일적인 구성 도식이 적절하다(발단 및 고조되고 하강하는 사건 진행).
순서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1.gif)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2.gif)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3.gif)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4.gif)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5.gif)
%20%EC%82%AC%EC%8B%A4%EC%A3%BC%EC%9D%98%EC%9D%98%20%ED%9D%AC%EA%B3%A1_hwp_06.gif)
폐쇄 희곡과 개방 희곡의 차이
최근에까지 폐쇄 형식과 개방 형식 또는 구조적인 희곡과 비구조적인 희곡이라는 개념(槪念)을 가지고 작업이 계속되었지...
시적(詩的) 사실주의의 희곡
Download : 시적(詩的) 사실주의의 희곡.hwp( 76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다.폐쇄 희곡과 개방 희곡의 차이최근에까지 폐쇄 형식과 개방 형식 또는 구조적인 희곡과 비구조적인 희곡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작업이 계속되었지... , 시적(詩的) 사실주의의 희곡기타레포트 ,
설명
폐쇄 희곡과 개방 희곡의 차이
최근에까지 폐쇄 형식과 개방 형식 또는 구조적인 희곡과 비구조적인 희곡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작업이 계속되었지만 두 기본 관념에 관한 체계적인 해명과 명확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세분을 요하고 부분들의 비독립성 을 요하며 논리적인 결말 관계가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