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06 09:43
본문
Download : 지역경제정책.hwp
지역경제정책 , 지역경제정책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제2절 지역경제개발정책
1. 테크노폴리스
1) 관념
① technology(기술)와 polis(도시)의 합성어.
② 첨단산업+이공계대학과 연구소+전원의 매력적인 주거공간
첨단산업의 속성⑴자원절약적 ⑵지식집약적 ⑶제품주기가 짧은 생산 ⑷높은 부가가치 ⑸가볍고 부피가 작은 생산물 ⑹각기 다른 산업들의 기술을 종합하여 새로운 분야의 시스템 개발
③ 생산적이고 질이 높은 생활수준을 가져올 수 있는 고도기술집적도시
④ 연구개발과 제품생산기능을 동시에 갖춘 첨단산업연구도시
2) 특징
① 연구개발과 생산제조기능의 복합 유형
② 대학, 연구소와 생산업체들과의 상호긴밀한 유대관계 형성
③ 기술혁신의 경제적 편익의 회수가 지역 내에서 가능하여 지역경제의 파급효율가 크다.
④ 미국의 실리콘 밸리, 보스턴 근교의 루트128 첨단기술지역,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첨단산업단지, 프랑스의 소피아 안티폴리스, 독일의 브레멘 등
3) 입지기준-일본정부가 제시한 첨단산업연구도시로서의 부적격 기준
① 과잉 과밀한 대도시
② 인접한 곳에 모도시(母都市)가 없는 경우
③ 가까운 곳 혹은 도시 내에 대학 또는 연구기관이 없는 경우
④ 공항, 고속도로, 철도 등 교통이용이 불편한 곳
⑤ 이미 어느 정도의 산업, 정보, 기술 등의 집적이 없는 곳
4) 산학협동의 피료썽
산…(To be continued )① 완제품의 조립단계를 제외한 거의 모든 형태의 첨단산업단지는 공통적으로 던지내 이공계대학을 무대로 하여 출발하였음.
② 산업기술의 급속한 진전으로 기술혁신의 원동력이 되는 연구개발의 기능의 확충이 지역경제활성화와 직결되었음.
③ 외부의존형 기술개발은 지역적 속성 을 반영할 수 없고 첨단기술의 짧은 수명으로 인한 실효성 부족 등의 문제를 지니고 있음.
④ 중소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짧은 수명을 가진 첨단기술의 지역내 기술자립체제확립이 요구
2 테크노파크
① 기술혁신을 기조로 한 경제발전이라는 기본目標(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대학 및 연구소와 기업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첨단산업의 foundation과 발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구개발시설,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지원서비스시설, 생산시설을 한 장소에 집적시킨 단지.
② 테크노파크+주거 및 文化(culture) 기능→테크노폴리스
③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 테크노파크 조성에 경쟁적으로 참여.
④ 취약한 지역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대학의 연구개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
순서
지역경제정책
설명
지역경제 정책의의와 경제개발정책,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 資料입니다.지역경제정책
Download : 지역경제정책.hwp( 31 )
레포트/경영경제
지역경제 정책의의와 경제개발정책,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해 설명한 자료입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