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port]조선왕조실록을 읽은후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9 02:40
본문
Download :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 읽고나서.hwp
실록청의 총재관은 재상이 맡았으며, 대제학 등 문필이 뛰어난 인물이 도청및 각방 당상으로 임명되었다. 중초는 도청에서 그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이고, 정초는 총재관과 도청 당상이 중초를 교열하고 최종적으로 수정첨삭을 하여 완성한 것이다. 춘추관묘향산태백산오대산강화도 마리산에 새로 사고를 설치하여 실록을 보관하였는데, 춘추관실록은 이괄의…(skip)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 읽고나서 ,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 읽고나서서평서평감상 , 독후감 조선왕조실록 읽고나서
서평감상/서평
[book report]조선왕조실록을 읽은후나서
순서
설명
[book report]조선왕조실록을 읽은후나서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20읽고나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EC%9D%84%20%EC%9D%BD%EA%B3%A0%EB%82%98%EC%84%9C_hwp_01.gif)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20읽고나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5D%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EC%9D%84%20%EC%9D%BD%EA%B3%A0%EB%82%98%EC%84%9C_hwp_02.gif)
다. 시정기와 사관이 개인적으로 작성한 사초 및 승정원일기가 실록편찬의 기본 reference(자료)였다. 문집일기야사류 등도 이용되었으며 후기에는 일성록도 사용되었다.
Download :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을 읽고나서.hwp( 87 )
독후감,조선왕조실록,읽고나서,서평,서평감상
조선왕조실록을 읽고쓰기나서
실록의 편찬은 대개 전왕이 죽은 후 다음 왕의 즉위 초기에 이루어지는데, 춘추관 내에 임시로 설치된 실록청에서 담당하였다. 실록편찬 과정은 초초중초정초의 3단계로 나누어졌다. 초초는 각방의 당상과 낭청이 reference(자료)를 분류하고 중요reference(자료)를 뽑아 작성한 초안이다.
조선 전기에는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 등 4곳에 사고(가 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모든 사고가 불에 타버렸으며, 1603년(선조 36)에서 1606년까지 전주 사고본 실록을 근거로 태조에서 명종까지 13대에 걸친 실록을 다시 4부씩 인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