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看護學(간호학)] Suction에 관한 공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6 17:43
본문
Download : Suction에 관한 공부.hwp





[看護學(간호학)] Suction에 관한 공부
5. 改善(개선) 점
-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 등을 방지한다.
* 카테터의 선택: 경로의 1/2의 카테터를 삽입하고, 다른 경로로 흡인 시 다른 카테터를 사 용한다.
준비물: vacuum gauge, 흡인병, 멸균 카테터, 멸균장갑, 멸균 용액
suction : 흡인 간호
2. 방법 및 주의사항
- 산소, 탄산가스 교환을 증진한다.
* 흡인 중의 V/S 체크 : 흡인의 부작용으로 심정맥, 기도 허탈(collapse)시켜 저산소혈증을 가중시켜 무기폐의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시 팽창시키는 주머니로 100% 산소를 주입한다.
※ 흡인이란 비인두, 구강, 기관으로 카테터를 주입하여 흡인기에 의해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cf. ventilator 사용 시 100% 산소 공급 버튼을 누르고 스타트
reference
설명
Suction에 관한 입니다.
Suction에 관한 자료입니다.
1. 목적 - 과 이물을 제거시켜 기도를 유지한다.
- 검사물 채취 시에 한다.
* 흡인시의 자세 : 의식 있는 대상자는 반좌위, 무의식 환자는 측위에서 간호사와 얼굴을 마 주보도록 하는 자세
다.
순서
3. 부서에서의 특이한 점
* 흡인압 : 성인: 80~140mmHg (아동은 50mmHg) → 연령에 따라 안전한 음압을 제공해주 며 지나친 음압은 기흉(pneumothorax)을 일으킬 수 있따
2. 방법 및 주의사항
흡인, 카테터, 멸균, 산소, 음압
* 분비물이 남았을 시 : 2~3분 간격으로 흡인을 다시 시도한다.
4. theory 및 임상의 비교
레포트 > 의학계열
1. 목적 -
Download : Suction에 관한 공부.hwp( 92 )
- 점막을 자극시켜 기침을 촉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