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관계 성립의 세 조건의 회귀analysis에서의의미:세 번째 조건(비허위적 관계)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2 13:06
본문
Download : 통계학과.hwp
Ⅱ. 회귀분석에서의 인간과계추론 과정





인간관계추론 회귀analysis 비허위적관계 다중공선성 / 김태일 (1996). 선발편의의 회귀analysis에서의 의미와 해결방법에 대한 논의. 정책analysis평가학회보 6권 1호.
Ⅲ. 비허위적 관계의 조건은 다중회귀분석에서 어떻게 충족되는가?
추정계수의 분산증가는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이 사실이라고 판단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인데 비하여 추정계수의 편의발생은 모형의 내적 타당성을 해치며, 연구자가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이 사실이 아님에도 사실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통계학)
Ⅰ. 서론
채서일 (1994).「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2판, 서울:학현사.
순서
인간관계추론 회귀분석 비허위적관계 다중공선성 / 김태일 (1996). 선발편의의 회귀분석에서의 의미와 해결방법에 대한 논의. 정책분석평가학회보 6권 1호. 남궁근 (1994). 「행정조사방법론」, 서울:법문사. 노화준 (1991).「정책평가론」, 제2전정판, 서울:법문사. 채서일 (1994).「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2판, 서울:학현사. Cook, Tomas D. and Donald T. Campbell (1979). Quasi-Experimentation. Boston:Houghton Mifflin Company. (통계학)
남궁근 (1994). 「행정조사방법론」, 서울:법문사.
설명
노화준 (1991).「정책평가론」, 제2전정판, 서울:법문사.
Reference List
인간관계추론 회귀분석 비허위적관계 다중공선성
다.
Cook, Tomas D. and Donald T. Campbell (1979). Quasi-Experimentation. Boston:Houghton Mifflin Company.
Ⅳ. 비허위적 관계의 조건, 다중공선성, 그리고 편의
Ⅴ. 결론
Download : 통계학과.hwp( 67 )
인과관계 성립의 세 조건의 회귀analysis에서의의미:세 번째 조건(비허위적 관계)을 중심으로
비허위적 관계 조건의 충족을 위해서는 관심을 갖는 두 변수에 동시에 影響을 미치는 제3의 변수들을 회귀모형에서 다른 독립변수들로 포함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에 독립변수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다중공선성이 존재하는 경우 추정계수의 분산이 증가하여 인과관계를 입증할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이유 때문에 일부 연구자들은 관심의 대상인 독립변수와 상관관계에 있는 제3의 변수들을 회귀모형에서 제외시키는 경우가 있따 그러나, 이는 인과관계 성립을 위한 세번째 조건을 위반하는 것으로서, 독립변수와 오차항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회귀분석의 기본가定義(정이) 위반 및 그에 따른 추정계수의 편의를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가설 검정에서는 연구자가 입증하려는 가설이 사실임에도 이를 증명하지 못하는 경우보다는 연구자가 입증하려는 가설이 거짓임에도 이를 사실인 것으로 판단하는 잘못을 더욱 중요한 오류로 다루고 있따
일반적으로 어떤 사건이나 현상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① 시간적 선행, ② 공동 變化, ③ 비허위적 관계의 세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따 본 논문은 인과관계의 추론을 위한 회귀분석에서 위의 세 조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충족될 수 있는가를 밝히는데 특히 세번째 조건인 ‘비허위적 관계’에 논의의 중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