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 자연관이 지구적 생태위기의 근원이다 - 린 화이트 테제와 유럽 중심적 시각을 넘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8 03:05
본문
Download :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hwp
설명
“폭포수와 분수는 동양과 서양의 각기 다른 두 文化의 원천이 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포메란츠에 따르면, 중국(中國)은 지금껏 대개 서구 자연관의 잠정적인 안티테제로 봉사해왔고, 땅에 대한 애정 어린 태도로써 찬사를 받아왔다.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기독교적 자연관, 지구적 생태위기,린 화이트 테제
순서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 자연관이 지구적 생태위기의 근원이다 - 린 화이트 테제와 유럽 중심적 시각을 넘어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오늘날 인류는 지구적 생태위기에 직면해있다.
Download :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hwp( 71 )
다. 이런 관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양과 서양의 자연관을 비교해왔다.” 이어령,〈폭포와 분수〉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102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8%B0%EB%8F%85%EA%B5%90%EC%A0%81-1022_01.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102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8%B0%EB%8F%85%EA%B5%90%EC%A0%81-1022_02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102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8%B0%EB%8F%85%EA%B5%90%EC%A0%81-1022_03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102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8%B0%EB%8F%85%EA%B5%90%EC%A0%81-1022_04_.jpg)
![[해양팽창과 근대의 형성] 기독교적-102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D%95%B4%EC%96%91%ED%8C%BD%EC%B0%BD%EA%B3%BC%20%EA%B7%BC%EB%8C%80%EC%9D%98%20%ED%98%95%EC%84%B1%5D%20%EA%B8%B0%EB%8F%85%EA%B5%90%EC%A0%81-1022_05_.jpg)
생태위기가 도구적 자연관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러한 자연관은 서구에서 기인한 것이고, 동양은 서양과 반대되는 자연관을 가져왔다는 생각들은 자연스레 하나의 결론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런 도구적 자연관은 인류 보편적인 게 아니라 서구적인 것인데, 오늘날의 세계가 서구 근대문명의 지구적 확대를 통해 형성되는 가운데 서구적 자연관도 세계화되었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또한 국가들 사이의 이해 갈등이 이 사안에 있어서만큼은 잠시 중단되어야 마땅하다는 시급함도 느낄 수 있다. (중략) 무엇보다도 폭포수는 자연이 만든 물줄기이며, 분수는 인공적인 힘으로 만든 물줄기이다. 이러한 인식은 곧 생태위기의 책임을 자연을 인간의 도구로 바라보는 태도로 돌린다. 한편 자연이나 환경 등 여러 단어 중에서도 ‘생태’라는 어려운 단어로써 오늘날의 지구적 문제가 표현되고 있다. 다음 인용문은 서구와 대비되는 동양의 자연관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오늘날 인류는 지구적 생태위기에 직면해있다 ‘인류’와 ‘지구적’이라는 표현에서 우리는 생태 위기가 국경과는 무관한 사안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들 사이의 이해 갈등이 이 사안에 있어서만큼은 잠시 중단되어야 마땅하다는 시급함도 느낄 수 있다 주기적으로 열리는 국제회의에서 각국이 머리를 맞대고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方案을 모색하는 모습이 이를 잘 보여준다. ‘인류’와 ‘지구적’이라는 표현에서 우리는 생태 위기가 국경과는 무관한 사안임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인류가 동양적 자연관을 가져야만 근본적 차원에서 지구적 생태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폭포수는 심산유곡에 들어가야 볼 수 있고, 거꾸로 분수는 도시의 가장 번화한 곳에 가야 구경할 수가 있따 하나는 숨어 있고, 하나는 겉으로 드러나 있따 폭포수는 자연의 물이요, 분수는 도시의 물, 문명의 물인 것이다. 자연, 환경 같은 단어가 인간과 구분되는 대상이라는 느낌을 준다면 생태·생태계라는 단어는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라는 인상을 준다. 한편 자연이나 environment(환경) 등 여러 단어 중에서도 ‘생태’라는 어려운 단어로써 오늘날의 지구적 문제가 표현되고 있다 자연, environment(환경) 같은 단어가 인간과 구분되는 대상이라는 느낌을 준다면 생태·생태계라는 단어는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라는 인상을 준다. 주기적으로 열리는 국제회의에서 각국이 머리를 맞대고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모습이 이를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