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 유아연구 및 평가 E형>질적연구의 개념은 무엇이고 이것을 실시한다면 무엇을 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03:09
본문
Download : [교육평가] 질적연구[2].hwp
5. 이용숙․김영천 편(2002),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다. 연구자는 수업에 거의 참여를 하지 않으면서 관찰한 내용을 기록한다. 개별면담은 일반적으로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은 수줍음을 많이 타는 property(특성)이 있어 학생들이 이야기를 잘 하지 않고 대답도 명료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7. 주삼환 외 공저(1999), 수업관찰과 分析, 원미사
2) 관찰은 시간이 감에 따라 점점 분석적 귀납법의 과정이 되기 때문에 명료화되기 처음 한다.
3. 서근원(2003),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Download : [교육평가] 질적연구[2].hwp( 78 )
◉ 질적 연구의 data(資料) 수집방법 및 기록 방법
질적연구, 질적연구의 개념, 질적연구의 방법, 유아연구및평가
학생과의 면담은 집단면담 방식이 효율적이다.
① 비공식적 면담은 자유로운 상황에서 수업과 교실활동에 대한 관찰 중 발전된 질문들을 중심으로 실시한 다. 이 방법은 교사들을 통해서 교실생활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많은 주제나 관점을 알 수 있다.
2. 김윤옥 외 공저(2001),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② 협의적 관찰을 통하여 주 연구주제인 교실관리와 수업시퀀스에 초점
설명
1. 참여관찰
2. 질적 연구의 property(특성)
① 교사들이 현실을 배제한 이상적인 관점에서 교실상황을 說明(설명) 하고 해석한다. 관찰노트의 기 록양은 점점 줄어들면서 교실에서 발생하는 현상들이 보다 발전된 법주로 체계화되기 처음 한다.
-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E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김영천(2002),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문음사 2. 김윤옥 외 공저(2001),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문음사 3. 서근원(2003),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4. 서울대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출판사 5. 이용숙․김영천 편(2002),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6. 조용환(2000),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7. 주삼환 외 공저(1999), 수업관찰과 분석, 원미사
- 지속적으로 교실활동과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면서 현장노트에 기록
① 수업시간과 쉬는 시간 동안에 실제적으로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에 초점
순서
4. 서울대 교육연구소(1998),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출판사
6. 질적 연구의 data(資料) 수집방법 및 기록 방법
1. 질적 연구의 개념(槪念)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data)] 1. 김영천(2002), 네 학교 이야기: 한국초등학교의 교실생활과 수업, 문음사
![[교육평가] 질적연구[2]-721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A7%88%EC%A0%81%EC%97%B0%EA%B5%AC%5B2%5D-7217_01.gif)
![[교육평가] 질적연구[2]-721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A7%88%EC%A0%81%EC%97%B0%EA%B5%AC%5B2%5D-7217_02_.gif)
![[교육평가] 질적연구[2]-721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A7%88%EC%A0%81%EC%97%B0%EA%B5%AC%5B2%5D-7217_03_.gif)
![[교육평가] 질적연구[2]-721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A%B5%90%EC%9C%A1%ED%8F%89%EA%B0%80%5D%20%EC%A7%88%EC%A0%81%EC%97%B0%EA%B5%AC%5B2%5D-7217_04_.gif)

3) 면담의 문제점
- 많은 학교 일정이나 교사와 학생의 관계, 학교규칙, 교실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사회, 문화적 활 동을 기록
2) 학생과의 면담
- 다양한 자료(data)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관찰의 초점
4. 질적 연구의 지적 전통
3.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의 차이점
2. 면담
참여관찰은 가장 생산적인 연구방법으로 관찰학급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방관자로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 <韓國放送通信大學校 2010-1 유아연구 및 평가 E형>질적연구의 개념은 무엇이고 이것을 실시한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논의하시오
② 공식적 면담은 반구조적인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실시한다.
6. 조용환(2000), 질적 연구: 방법과 事例, 교육과학사
5. 질적 연구를 위한 다섯 개의 연구 과정
-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E형 참고자료(data)입니다
1) 교사와의 면담
③ 면담과정은 교사들에게 질문에 대한 답을 요구하기보다는 어떤 이슈에 대하여 자유스럽게 이야기하는 대화 면담 법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시점 에서 관찰은 어떤 현상이 중요하고 주목할 만한 것인가, 그리고 기록되어질 필요가 있는가를 결정하는 여 과기 역할을 수행한다.
레포트 >
② 교사들이 면담시간을 학교 운영정책, 봉급문제, 개인적-구조적 모순이나 불만을 드러내는 기회로 삼는 다. 질문은 학생들과 교실생활, 교실에서의 상 호관계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