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1 04:13
본문
Download :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hwp
알타이제어설을 긍정하는 입장에서 보는 유사성은 음운론적으로 모음조화가 있다는 점, 알타이 제어의 모음체계에서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이 있다는 점, 어두에 유음이나 복자음이 오는 것을 꺼리는 점,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자음, 모음의 교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첨가어로서 교착성이 강한 점, 관계 대명사와 접속사가 없으며 용언의 어미활용으로 접속기능을 대신하는 점, 어순이 주어+목적어+서술어의 구조라는 점, 수식어가 피수식어의 앞에 온다는 점이다.
Download :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hwp( 22 )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 ...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4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9A%B0%EB%A6%AC%EB%A7%90%EC%9D%84%20%EC%95%8C%ED%83%80%EC%9D%B4%EC%A0%9C%EC%96%B4%EB%A1%9C%20%EB%B3%B4%EB%8A%94%20%EC%A3%BC%EC%9E%A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49_01.gif)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4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9A%B0%EB%A6%AC%EB%A7%90%EC%9D%84%20%EC%95%8C%ED%83%80%EC%9D%B4%EC%A0%9C%EC%96%B4%EB%A1%9C%20%EB%B3%B4%EB%8A%94%20%EC%A3%BC%EC%9E%A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49_02_.gif)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114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9A%B0%EB%A6%AC%EB%A7%90%EC%9D%84%20%EC%95%8C%ED%83%80%EC%9D%B4%EC%A0%9C%EC%96%B4%EB%A1%9C%20%EB%B3%B4%EB%8A%94%20%EC%A3%BC%EC%9E%A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EB%8A%94%20%EB%AC%B4%EC%97%87%EC%9D%B8%EA%B0%80-1149_03_.gif)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설명
순서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 약 계통적 연구는 비교언어학적 방법으로 친족 관계가 있는 여러 언어를 비교함으로써 그들 언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여 그들의 사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해결해야할문제내용〉 계통적 연구는 비교언어학적 방법으로 친족 관계가 있는 여러 언어를 비교함으로써 그들 언어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여 그들의 사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로니는 최초로 한국어와 우랄알타이제어에 유형적인 유사성을 제시하면서 한국어를 계통적으로 다루었고, 19세기 말엽에 뽈리바노프는 람스테트에 앞서 한국어가 알타이제어와의 친근성을 주장하면서 음운과 형태면에서 비교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람스테트의 주장으로 이루어졌다. 그 동안 한국어에 대한 계통설을 보면 알타이제어가 가장 먼저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알타이제어의 언어구조는 유사성이 많지만 알타이제어설을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어휘의 유사성에서 차용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기초낱말도 대명사의 일부가 공통적이고 수사가 다르고, 신체의 부분 명칭, 친족 명칭 등 기본어휘에 유사성이 거의 없다는 점을 들어 차용에 의한 유사성이라고 주장한다. 포페는 람스테트의 주...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말을 알타이제어로 보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먼저 알타이어족설을 최초로 주장한 사람은 스웨덴의 스트라렌베그이고 라스크 뮐러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어의 계통 문제도 알타이제어설의 하나로 유럽의 history 비교언어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