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원 자주재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9 18:57
본문
Download : 지방세원 자주재원.hwp
,경영경제,레포트
지방세원 자주재원
순서
지방재定義(정이) 구조와 實態와 문제점(問題點), 지방세외수입의 확충대책에 상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지방재정의 구조와 실태와 문제점, 지방세외수입의 확충방안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지방세원자주재원 , 지방세원 자주재원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Download : 지방세원 자주재원.hwp( 18 )
레포트/경영경제
지방세원자주재원






Ⅱ. 지방재定義(정의) 구조
현 지방재定義(정의) 수입은 자주재원과 의존재원으로 분류할 수가 있따
1. 의존재원
지방교부금제도, 국고보조금제도, 지방양여금제도, 조정교부금등이 있따
2. 자주재원
자주재원은 크게 지방세와 지방세외수입으로 나누어진다.
① 경상적 수입 - 사용료, 수수료, 사업장수입, 이자수입 등
② 임시적 수입 - 재산 매각대, 이월금, 기부금, 지방채 등
③ 사업수입 - 상·하수도 사업, 주택사업, 병원사업 등
④ 사업외수입 - 이월금, 전입금, 과년도 수입 등
Ⅲ. 지방재定義(정의) 실태(實態)와 문제가되는점
과거 중앙정부차원에서 이루어진 지방재定義(정의) 운영기조는 자주성확보와 건
전성 유지를 기본으로 취약한 지방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여러 대안이 강구되었다. 즉, 1989년 담배 소비세의 지방세 전환, 1991년 지방양여금도입, 1990년 종합토지…(투비컨티뉴드 )
다.
여기에서 지방세외수입은 회계 성질별로 일반회계수입과 특별회계수입으로 구분된다 일반회계에는 경상적 수입과 임시적 수입이 있으며,
특별회계에는 사업수익과 사업외수익이 있따
여기에서 경상적수입과 사업수익은 실질상 세외수입이며, 임시적수입과 사업외수입은 명목상 세외수입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