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 및 혈역동학적 변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0 20:07
본문
Download : 액체 및 혈역동학적 변조.hwp
2.부종(edema)
㈎ 定義(정의)
세포간 조직강이나 체강에 체액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현상
㈏ 발생기전
⑴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증가
① 세정맥 말단부의 정수압 증가 -> 여과압도 증가
-> 혈관으로부터의 간질조직으로의 체액유입증가 -> 부종유발② 울혈성심부전
i) 우심실기능저하 -> systemic venous return이 blocking-> systemic circulation의 정수압증가 -> 전신부종(anasarca)
ii) 좌심실기능저하 -> pulmonary vein이 blocking
-> pulmonary circulation의 정수압증가 -> 폐부종
⑵ 혈장의 팽창압(oncotic pressure) 감소 - 혈장단백감소
⑶ Na의 정체
① 연구균후사구체신염, CRF에서 Na가 정체됨
-> 혈액량과 간질체액량이 동시에 증가② 혈액 량이 줄어드는 모든 경우에 2차적인 증상으로 Na의 정체가 나타난다.
⑷ 림프계의 폐쇄 - 주로 국소적인 부종, 기생충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음.레포트/자연과학
세포간 조직강이나 체강에 체액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현상
2.부종(edema)
설명






순서
액체 및 혈역동학적 변조
2.부종(edema)㈎ 정의세포간 조직강이나 체강에 체액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현상㈏ 발생기전⑴ 정수압(hydrostatic pre... , 액체 및 혈역동학적 변조자연과학레포트 ,
⑴ 정수압(hydrostatic pre...
Download : 액체 및 혈역동학적 변조.hwp( 74 )
,자연과학,레포트
㈎ 정이
㈏ 발생기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