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 (動動)』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09 07:05
본문
Download : 『동동 (動動)』에 대한 연구.hwp
명칭의 경우를 보면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에는 여음 ‘아으 동동다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북소리 동동(…(생략(省略))
<동동>은 고려 때부터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조에 「악학궤범」권5 성종조 향악학정재도의 중에 연희의 놀이 절차와 함께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악후보」권7에는 악보가 전하고 있다아 그리고 <동동>에 대한 해설이 「고려사」악지 속악조에 실려 전하고 있다아
『동동 (動動)』에 대한 연구
,공학기술,레포트
다. 우리 조에서는 <동동> 원문을 토대로 하여 어구를 풀이하고,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동동>에 대한 해설이 「고려사」악지 속악조에 실려 전하고 있다.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동동 (動動)』에 대한 연구.hwp( 62 )
<동동>은 고려 때부터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조에 「악학궤범」권5 성종조 향악학정재도의 중에 연희의 놀이 절차와 함께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악후보」권7에는 악보가 전하고 있다.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1.gif)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2.gif)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3.gif)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4.gif)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5.gif)
%E3%80%8F%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6.gif)
설명
순서
우리 조에서는 <동동> 원문을 토대로 하여 어구를 풀이하고,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님’의 존재에 따른 주제와 형식, 중국과의 영향 관계 및 학자별 난해어구 풀이가 그 세부적 내용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님’의 존재에 따른 주제와 형식, 중국(China)과의 影響 관계 및 학자별 난해어구 풀이가 그 세부적 내용이다. 아박은 손에 들고 춤을 추는 소도구로서 노래 자체의 성격 또는 의미와는 상관이 없다. , 『동동 (動動)』에 대한 연구공학기술레포트 ,
➩ 여기서 화자는 분디나무로 깎아 만든 젓가락에다 비유하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화자는 좋은 재료를 쓰지 쓰지않고 가시가 많은 분디나무를 깎는다고 했을까? 여기서 우리는 시적 화자가 시종 일관 자신을 하잘 것 없고 쓸모 없는 존재로 비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등장한 버린 빗이라든가 더 이상 쓸모없는 나무라고 지칭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특히 어석에 있어서 난해한 부분인 ‘소니가재다 므노니다’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본 가요의 성격은 판이한 양상을 보이게 된다 (애련)
4. 작품의 총체적 파악 (논의의 쟁점에 따른 연구사)
1) 題目(제목)의 originate
<동동>의 제명과 관련하여 「악학궤범」에서는 정재(정재)이름을 ‘아박(아박)’이라 하였는데 ‘아박’은 춤 이름이며 ‘아박’이라는 춤을 출 때 부르는 노래가 <동동>이었기 때문에 ‘아박’ 아래 <동동>의 노랫말을 기록하여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