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현대china(중국) 어 정도부사 비교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9 06:43
본문
Download : 중어중문과_18.hwp
1. 들어가는 말, 2. 정도부사의 경계문제, 3. ‘很’, ‘太’, ‘挺’, ‘非常’의 어법기능과 의미특징, 4. ‘很’, ‘太’, ‘挺’, ‘非常’의 互用관계 analysis(분석) , 5. ‘很’, ‘太’, ‘挺’, ‘非常’이 잘못 쓰인 문장 analysis(분석) , 6. 나오는 말, 파일크기 : 52K
[중문학] 현대china(중국) 어 정도부사 비교 연구
朱德熙(1982:192)는 부사어로만 쓰일 수 있는 虛詞가 바로 부사라고 정의(定義)하고 있다아 한편 金琮鎬(1994:22)는 현대china어의 부사를 문장의 주요성분(成分)이 되지 못하고 단지 부가성분(成分)인 부사어만을 이루며, 동사, 형용사, 명사(구) 및 기타의 부사를 수식·제한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아 이 때 수식범위의 입장에서 대부분의 부사는 문장의 어느 한 성분(成分)만을 수식하고 제한하지만 일부의 부사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기도 한다고 적고 있다아






설명
순서
Download : 중어중문과_18.hwp( 84 )
레포트/인문사회
현대중국어,중국어정도부사,문장형식,인문사회,레포트
1. 들어가는 말, 2. 정도부사의 경계문제, 3. ‘很’, ‘太’, ‘挺’, ‘非常’의 어법기능과 의미특징, 4. ‘很’, ‘太’, ‘挺’, ‘非常’의 互用관계 분석, 5. ‘很’, ‘太’, ‘挺’, ‘非常’이 잘못 쓰인 문장 분석, 6. 나오는 말, FileSize : 52K , [중문학] 현대중국어 정도부사 비교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현대중국어 중국어정도부사 문장형식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