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조리원리 Task 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6 01:58
본문
Download : 조리원리,2021년2학기 중간.hwp
찹쌀과 멥쌀을 두 번씩만 씻고 각각 물 250ml를 넣어 20분간 불렸다.
인절미는 찹쌀로 만드는데 멥쌀로 만들게 되면 그 식감과 외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쌀만 다르고 모든 조건이 같은데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
완성된 밥은 각각 700번씩 절구로 빻아 동그랗게 만들어 겉 표면이 마르지 않도록 비닐을 씌웠다. 찹쌀떡의 경우 금방 형태가 무너지고 점성이 많이 생겨 떡이 쭉쭉 늘어나는 것이 눈으로 보여졌다. 이렇게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가 사랑하는 떡 인절미는 찹쌀이나 찹쌀을 가루로 내어 쪄서 만들어진 떡을 치대고 콩고물을 묻혀 만든 떡이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3시간 후 외관과 절단면을 비교하고 시식을 해보았다.
인절미 토스트, 인절미 빙수, 인절미 와플 등 요즘에는 인절미를 즐기는 법도 다양하다. 멥쌀의 경우 같은 횟수로 빻았음에도 불구하고 형태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확인 되었고, 빻는 횟수가 늘수록 점도가 생기고 절구에도 많이 달라붙었지만 찹쌀처럼 떡이 늘어나는 모습은 볼 수 없었다. 멥쌀과 찹쌀로 인절미를 만들어보고 전분의 차이에 따라 호화와 노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비교해 보았다. 인절미는 찹쌀로 만드는데 멥쌀로 만들게 되면 그 식감과 외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실험을 실시했다. 어렸을 때에는 텁텁한 콩가루 때문에 인절미가 맛있는 줄 몰랐다가 크고 나니 쫀득쫀득 구수한 맛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Download : 조리원리,2021년2학기 중간.hwp( 67 )





전분의호화, 전분의노화, 멥쌀떡, 찹쌀인절미
방송통신대학교 조리원리 Task 물
각각 물 40ml에 소금1티스푼 + 설탕3티스푼씩 넣고 녹였다.
준비물 : 찹쌀1컵(240ml), 멥쌀1컵(240ml), 소금1티스푼(5ml)씩, 설탕3티스푼(15ml)씩
다.
설명
실험을 실시했다. 어렸을 때에는 텁텁한 콩가루 때문에 인절미가 맛있는 줄 몰랐다가 크고 나니 쫀득쫀득 구수한 맛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멥쌀과 찹쌀로 인절미를 만들어보고 전분의 차이에 따라 호화와 노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비교해 보았다. 이렇게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가 사랑하는 떡 인절미는 찹쌀이나 찹쌀을 가루로 내어 쪄서 만들어진 떡을 치대고 콩고물을 묻혀 만든 떡이다.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완성된 떡을 절구로 빻을 때부터 둘의 차이가 확연히 느껴졌다. 700회를 빻고 난 후 동그랗게 성형할 때에도 찹쌀떡은 달라붙어 길게 늘어나 성형이 어려웠고, 멥쌀은 달라붙기는 했지만 동그란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했다.
불려진 쌀에 소금과 설탕을 녹인 용액을 넣고 전기밥솥에 밥을 지었다.
인절미 토스트, 인절미 빙수, 인절미 와플 등 요즘에는 인절미를 즐기는 법도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