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소설의 유통방식 (세책가,방각소설 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9 03:18
본문
Download : 고소설의유통방식.hwp
다. 이는 필사본만으로는 더 이상 광범위하게 넓어진 독자층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고 신흥 상인계층이 방각업자로 나서면서 근대사회에서 문학의 유통이라는 모습을 본격적으로 보여주는 소설의 유통 방식 이라고 할 수 있따 방각소설은 상설시장 뿐만 아니라 보부상과 같은 비정기 시장에서도 공급되었는데 당시 소설의 formula(공식)적 간행을 바람직하게 보지 않는 당대의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여 처음에는 기존의 한문 소설을 번역하여 출판한다는, 그래서 정사된 사본이라는 외형적 정체성을 가졌다.
2) 상업적 유통방식
③ 강독자
① 강담사
고전소설이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유통이 되었는지 여러 가지 서적을 참고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② 방각소설 (坊刻小說)
1) 비상업적 유통방식
1987, pp.113-pp.136
이상택, 「한국 고전소설의 理論 1」, 새문사, 2003, pp.36-pp.54
3) 구비적 유통방식
김혁배, 「18,9세기의 한글 소설과 유통」, 『문학과 언어학회』, 8권,





2. 고전소설 유통방식의 종류
② 방각소설
이상택 외,「한국 고전소설의 세계」,돌베개, 2005, pp.233-pp.249
Reference List
본문내용
4. 결론
목차
세책고소설연구회 편, 「세책고소설연구」, 혜안, 2003
세책가에서 운용하고 있던 세책본의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면 표지를 삼베 같은 것으로 싸고 위에서 둘째 장책 사이에 끈이 달려 있으며 책장 사이에는 욕설이나 희서 등이 씌어 있따 책의 손상을 막기 위해 책장마다 들기름을 바르고 왼쪽 하단부에 침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몇 글자 비어 있따 또한 한 작품이 여러 권으로 되어있어 각권의 끝부분 내용은 다음권의 서두 부분에도 일부 중복시켜 놓았다. 고전소설이 어떤 방식으로 사람들에게 유통이 되었는지 여러 가지 서적을 참고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참고문헌 김혁배, 「18,9세기의 한글 소설과 유통」, 『문학과 언어학회』, 8권, 1987, pp.113-pp.136 세책고소설연구회 편, 「세책고소설연구」, 혜안, 2003 이상택 외,「한국 고전소설의 세계」,돌베개, 2005, pp.233-pp.249 이상택, 「한국 고전소설의 이론 1」, 새문사, 2003, pp.36-pp.54 강명관, 「조선시대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1999
① 차람
한국고전소설의 유통방식 (세책가,방각소설 등)
② 강창사
Download : 고소설의유통방식.hwp( 33 )
① 세책가
③ 서쾌
순서
설명
강명관, 「조선시대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1999
③ 구활자본
1. 서론
고전소설,세책가,방각소설,고전소설론,강담사,강독자,고소설,유통,소설유통,
② 임사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방각소설은 ‘사용가치라는 척도에서 출판된 것이 아니라 교환가치 즉 상품화하여 시장 적거래’ 를 하기 위해 출판된 소설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