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3 13:58
본문
Download :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hwp
원효와의상의불교사상에대하여1 ,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한 글입니다.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한 글입니다.
순서
원효와의상의불교사상에대하여1
3. 의상의 화엄종
화엄종의 계보는 마명-용수-두순-지엄-법장의 순으로 이어진다.
China의 화엄학은 북쪽 지방에서 발달한 유식학파 계통의 지론종이나 섭론종의 학설을 받아들이고, 다시 당 초기에 현장이 새로 전해온 유식학의 자극을 받아서 성립된 것인데, 그것을 집대성한 사람은 법장(643-712)이었다. 법장에 한발 앞서 원효도 본체와 현상을 각각 고립적인 것이 아니라 통일적인 견지에서 본체는 곧 현상이며, 현상은 곧 본체라고 하는 합리적인 견해를 내놓고, 그 논리에 의해서 중관과 유식의 대립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원효와 법장의 화엄학은 양자 모두 대…(To be continued )
Download :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hwp( 74 )
원효와 의상의 불교사상에 대하여
,인문사회,레포트
다. 하지만 원효의 철학에서는 현상세계의 개별적인 여러 현상들간의 상호 관계에 관련되어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고, 원효의 influence(영향)을 받으면서 조직된 법장이 한걸음 나아가 현상의 개개사물과 사물들 사이에도 거리낌없이 서로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2조 지엄의 제자가 신라의 의상이고, 의상과 법장은 같은 스승아래 수업하고 의상은 신라에서 화엄론을 널리 선양하는 데 큰 공을 한 사람이 의상이고 China불교에서는 법장이므로 법장의 대략적인 이해가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