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 4대강 사업과 생태계 파괴에 관한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4 08:35
본문
Download : 사회문제 - 4대강 사업과 생태계 파.hwp
게다가 1913년 도산 안창호 선생이 ‘강산개조론’이란 연설을 한 적이 있다아 산엔 나무가 없고 강은 퇴적이 되어 홍수가 생겨 문제니 제대로 된 나라라면 산과 강을 살려서 우리 강산을 개조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최근에는 도로의 절개지가 무너져 내리거나 오래된 축대가 붕괴하고, 하수도가 넘쳐 저지대가 침수되는 등 도시형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아 그런데 4대강 사업은 본류에 치중한 사업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전혀 없다. 특히, 사업이 대부분 완공된 시점인 2013년 1월 17일 사원이‘4대강 살리기 사업 주요시설물 품질 및 수질관리 실태’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4대강 사업의 총체적 부실상태를 지적한 이후,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효과 및 부실성에 대한 논란이 더욱 가중되었다.
다.
(2) 수질 improvement 효능
Download : 사회문제 - 4대강 사업과 생태계 파.hwp( 91 )
사회문제,4대강 사업,생태계 파괴
② 반대 견해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홍수방어, 갈수기 유량확보 및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전국의 4대 주요하천의 본류에 대한 준설, 제방보강, 다기능 보 및 중규모 댐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 수질오염물질 관리 등을 수행한 대규모 사업이었다.
하천정비사업이 본류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4대강 본류는 이미 홍수의 피해로부터 안전하다고 한다.
사회문제 - 4대강 사업과 생태계 파괴에 관한 논쟁
① 찬성 견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4대강 사업 가운데 농업용 저수지 둑 높임 사업, 댐 건설, 보 설치 등은 저수량을 높여 물그릇을 키우고 물이 부족한 갈수기에 집중 방류해 지류 및 본류하천의 유황을 improvement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구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및 환경부에서 총 22.2억 원을 투자하였다. 특히, 사업이 대부분 완공된 시점인 2013년 1월 17일 사원이‘4대강 살리기 사업 주요시설물 품질 및 수질관리 실태(實態)’라는 보고서를 발표하여 4대강 사업의 총체적 부실상태를 지적한 이후, 4대강 살리기 사업의 effect 및 부실성에 대한 논란이 더욱 가중되었다. 이러한 property(특성) 때문에 우리나라는 하천수를 저류함으로써 용수확보와 함께 홍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물정책의 근간으로 삼아 지금까지 많은 댐과 제방 등을 만들고 관리해 왔다.
설명
environment(환경) 부에 따르면, 국립environment(환경) 과학원이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의 의뢰로 수행한 수질 예측 결과 4대강 사업이 끝나는 2012년에는 2006년보다 전반적으로 수질이 improvement되는 것으로 평가됐다. 즉, 4대강 사업을 통해 홍수와 가뭄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토목사업’으로 일컬어지며, 단기간 내 대규모 예산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업 시작단계부터 환경파괴 논란 등 많은 논란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이고 연강수량의 2/3가 6˜9월의 장마와 태풍기간에 집중돼 크고 작은 홍수가 빈번히 발생한다. 홍수 피해는 대부분 지류에서 발생하고 있다아 과거 33년간의 지자체별 홍수 피해액 통계를 보면, 1위는 강원도 양양군, 2위는 강원도 정선군이 차지하는 등 대체로 강의 상류나 지류의 피해가 크다. 이는‘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토목사업’으로 일컬어지며, 단기간 내 대규모 예산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업 시작단계부터 환경파괴 논란 등 많은 논란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구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구 농림수산식품부(현 농림축산식품부) 및 환경부에서 총 22.2억 원을 투자하였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홍수방어, 갈수기 유량확보 및 수질보전을 목적으로 전국의 4대 주요하천의 본류에 대한 준설, 제방보강, 다기능 보 및 중규모 댐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 수질오염물질 관리 등을 수행한 대규모 사업이었다. 특히 4대강 공사가 취수장에 미치는 탁수(흐린 물) influence(영향)을 예측했을 때 저감 방법을 세워 시행한다면 취수장 인근의 최고 가중농도(갈수기 기준)가 10mg/ℓ 이하로, 일부에서 우려하는 식수 공급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