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조직행위론]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instance(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0 15:13
본문
Download :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사례.hwp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instance(사례)
MBO는 피고과자인 종업원이 상급자와 공동으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목표달성에 대한 성취동기가 향상된다
순서
레포트 > 기타
1.MBO
일정기간동안의 구성원의 업무 목표가 조직의 상위 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리자와 구성원이 합의에 의하여 직무 및 업무 목표를 계획하는 방법이다. MBO의 특징으로는 다음 네 가지를 들 수 있따 첫째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두 번째로 구성원들이 계획 설정에 참여한다. 셋째 실정평가를 위한 계획 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실적에 대한 피드백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다. 목표 관리는 관리자와 구성원이 합의에 의해서 목표를 수립하며, 상호 협의, 합의 및 위임에 초점을 둔다. 1965년 피터 드럭커(Peter Drucker)가 주장한 theory 으로 관리자와 구성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경영목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구성원들은 자신에 대한 평가방법을 미리 알고 업무에 임하고, 평가 시에도 합의에 의해 설정된 목표달성 정도에 따라 업적을 평가한다.
Download :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사례.hwp( 53 )
[조직행위론]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instance(사례)
(2)피고과자의 전반적인 능력측정가능
1-2 MBO의 effect
목표설정에 있어 고과자와 피고과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관리자의 관리improvement을 기할 수 있따
(3)관리의 질 improvement
설명
(1)종업원의 모티베이션 향상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사례-957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7/%5B%EC%A1%B0%EC%A7%81%ED%96%89%EC%9C%84%EB%A1%A0%5D%20MBO%EC%9D%98%20%EB%8F%84%EC%9E%85%EC%84%B1%EA%B3%B5,%EC%8B%A4%ED%8C%A8%EC%82%AC%EB%A1%80-9572_01.gif)




조직행위론, MBO, 모티베이션
[조직행위론] MBO의 도입성공,실패사례
1-1. concept(개념) 및 특징
피고과자의 목표와 책임이 명백하게 되어 피고과자의 능력을 부분적이 아닌 전반적인 능력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