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文化(culture) 산업 통계의 작성대책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00:30
본문
Download : 통.hwp
(4) ______, 제조업고용동향展望(전망) 조사보고서, 1997.
(2) 노동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1999.
문화산업 통계 서비스업 동향통계
(9) 산업자원부, 디자인 센서스 조사연구,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1998.
문화산업 통계 서비스업 동향통계 / (1) 기업은행 기은조사, 2000. 봄. (2) 노동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1999. (3) ______,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1999. 12. (4) ______, 제조업고용동향전망조사보고서, 1997. (5) 대한상공회의소, 기업경기전망조사보고, 2000. 2/4분기. (6) 大韓印刷工業協同組合聯合會, 1998年度 全國組合員業體 基本實態調査報 告書, 1999. (7) 대한출판문화협회, 1999 한국출판연감, 1999. (8) 디자인하우스, 한국디자인연감, 1997. (9) 산업자원부, 디자인 센서스 조사연구,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1998. (10) 산업자원부,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제조업 디자인 투자실태 조사결과 (디자인투자실태조사결과보고서), 1999. (통계학)
(10) 산업자원부,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 제조업 디자인 투자실태(實態) 조사결과
文化(culture) 산업 통계 서비스업 동향통계 / (1) 기업은행 기은조사, 2000. 봄.
文化(culture) 산업 통계의 작성대책에 대한 고찰
순서
Ⅵ. culture산업 세부통계 및 동향통계의 개발 방안
(3) ______, 매월노동통계조사보고서, 1999. 12.
(6) 大韓印刷工業協同組合聯合會, 1998年度 全國組合員業體 基本實態調査報 告書,
Download : 통.hwp( 91 )
(5) 대한상공회의소, 기업경기展望(전망) 조사보고, 2000. 2/4분기.
Ⅳ. culture산업 통계의 개발 방향
culture산업은 영화, 음반, 게임, 출판, 방송, culture재, 캐릭터, 디자인, 전통공예, 멀티미디어 컨텐트 등에 이르는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아 그러나 현재 culture산업에 대한 통계는 행정절차를 통해 확보되는 보고, 등록통계 위주이며, 조사통계는 일부 산업에 국한하여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질 뿐이다.
Ⅲ. 해외 culture산업 통계 사례(instance)
나아가 이 글에서는 culture산업 모집단 통계를 다시 통계청의 조사를 주로 이용하는 ‘culture산업 기간통계’와 보다 세부적인 culture산업 분야별 現況(현황) 을 파악하기 위한 ‘culture산업 세부통계’로 구분하고, 이들 두 가지 통계와 ‘culture산업 동향통계’의 개발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culture산업 통계의 작성 방안을 검토하였다
Ⅴ. culture산업 기간통계의 개발 방안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999.
Ⅱ. culture산업의 정의 및 통계작성 現況(현황)
(디자인투자실태(實態)조사결과보고서), 1999.
설명
Ⅶ. 맺음말
Ⅰ. 머리말
(8) 디자인하우스, 한국디자인연감, 1997.
(통계학)
(7) 대한출판文化(culture) 협회, 1999 한국출판연감, 1999.





다. 이 글에서는 이에 따라 우리나라 culture산업 통계의 발전 방안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게 된다된다. 특히 이 글에서는 culture산업 통계의 대상을 culture산업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유통 관련 사업체로 설정하고, 이들 사업체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culture산업 모집단 통계와, 그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culture산업 분야별 시장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동향통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이러한 통계reference(자료)의 부족은 효율적인 정책 수립 및 집행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으며, culture산업이 더 발전하는 것도 어렵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 culture산업 전반의 現況(현황) 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의 개발은 시급한 처리해야할문제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