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협약종료후의 근로 관계 - 노동법상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4 16:02
본문
Download : 단체협약종료후의근로관계.hwp
다만 유효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새로운 단체협약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종전의 규범적 부분은 물론 채무적 부분은 그 효력만료일로부터 3월간 계속 효력을 갖는다.
2) 자동연장협정
자동연장협…(투비컨티뉴드 )① 제1설
② 제2설
3) 자동갱신협정
3. 단체협약 당사자의 변경 및 소멸
1) 학설
2) 규범적 부분
3) 채무적 부분
4. 검토
설명
순서
단체협약종료후의 근로 관계 - 노동법상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
단체협약종료후의 근로 관계
다.
2. 논의의 의미
단체협약유효기간의 만료에도 불구하고 신협약을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무협약상태가 발생한 경우 그 기간 동안 개별조합원의 근로조건이나 협약당사간의 관계는 어떻게 규율되는가가 문제된다된다.레포트/법학행정



단체협약종료후의 근로 관계 , 단체협약종료후의 근로 관계 - 노동법상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법학행정레포트 , 단체협약종료후 근로 관계
단체협약종료후,근로,관계,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단체협약종료후의근로관계.hwp( 93 )
노동법상 단체협약 종료 후의 근로관계
Ⅰ. 들어가며
1. 단체협약의 의의단체협약이란 헌법상 보장된 근로3권의 구체적인 산물로서 노사관계 당사자가 근로조건 기타 노사관계의 제반사항에 대해 합의한 문서를 말한다.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Ⅱ. 단체협약의 종료사유
1. 유효기간의 만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