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0 04:38
본문
Download :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hwp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5世紀中期國語의子音音素體系에관한硏究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 가운데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는 무엇보다도 「훈민정음」에서 보이고 있는 23초성 자모체계의 검토로부터 처음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훈민정음」에 나타난 23초성 자모체계는 특정공시적인 당시 국어의 현실 음소체계를 잘 반영하고 있는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에 있어 제 1차적 문헌 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문헌들은 15세기 중기국어의 서사문헌들인 「용비어천가」를 비롯한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등의 제 2차적 문헌 들이다.
이들 제 2차적인 문헌 들은 제 1차적 문헌 들에서 볼 수 없는 많은 새로운 언어 사실들을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써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 제 1차적인 문헌 보다 더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제 2차적인 문헌 에서 볼 수 있는 많은 ‘새로운 음어사실’이란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에서 보이고 있는 23초성 자모체계 가운데 하나인 ‘ㆆ’이 「훈민정음」해례 용자례에서는 제외되었으나, 「용비어…(투비컨티뉴드 )
1. 문제의 제기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15世紀中期國語의子音音素體系에관한硏究 ,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
순서





Download : 15세기 중기국어의 자음 음소체계에 관한 연구.hwp( 8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