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의 정체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7 05:03
본문
Download : 목회의 정체성.hwp
세례를 베풀고 떡을 떼는 단순한 행위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를 조심스럽게 고찰하는 것도 목사의 의무이다. 물과 떡과 포도주는 우리가 하나님과 맺은 약속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와 맺으신 약속으로 이것에 대하여 우리는 순종하는 신앙으로 응답하는 것이다. 세례 교역의 성서적인 근거는 마태복음 28:19의 대사명에 기초한다. 안수받는 순간에 목사는 안수식을 통하여 본질적으로 세례를 베풀고 성만찬을 집례하는 사명을 공동체로부터 위임받는다.
③성찬분배-“떡을 떼어” 만일 떡이 그리스도의 몸을 의미한다면 떡을 뗌은 우리를 위하여 그의 몸이 깨어짐을 의미한다.” 이것은 주님의 대속의 죽음을 찬양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주님의 현재의 부활 생명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징적으로 떡과 포도주를 포함한다. 우리는 물로 씻어 청결하게 되고 떡을 먹어 배부르게 된다 우리는 세례에 의하여 공동체로 인도되고 성만찬에 의하여 공동체 안에서 양육된다 예수님은 떡을 떼고 포도주를 마시고 물을 붓는 행위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형상화할 것을 요구하신다.
②감사기도-“축사하시고” 예수께서 떡을 떼기 전에 감사기도를 드렸듯이 목사는 하나님의 백성을 대리해서 대표적으로 하나님께 감사기도를 드린다.
목회의정체성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Download : 목회의 정체성.hwp( 98 )
예배 공동체의 목사와 세례와 성례전의 교역에 대상으로하여 설명했습니다.






,경영경제,레포트
목회의 정체성
예배 공동체의 목사와 세례와 성례전의 교역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세례는 신자의 옛 사람이 죽고 새 사람으로 다시 태어나는 가시적인 상징이다.
1. 예배
다.
세례가 그리스도의 몸에의 참여의 처음 을 특징짓듯이 주의 만찬은 합당한 성장을…(省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