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제 도입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8 21:55
본문
Download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hwp
시범학교는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총 10개월 간 운영되며 시범학교는 교육부의 평가제도 운영 매뉴얼 범위 내에서 학교의 실정과 characteristic(특성)에 맞는 평가모델을 개발·운영하게 된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hwp( 70 )
다. 근평제는 교사의 지도능력 및 전문성 등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평가지표가 없으며, 평가결과는 승진·전보·포상 등 인사 관리에 한해서만 활용돼 왔다. 또 현행 교원근무평정제도가 객관성·공정성이 부족하고 교원들의 능력개발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공정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교원평가제에대한논의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지난해 11월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전국 초·중등 교원 29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4.3%가 “근평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근평제도의 문제점(問題點)으로는 상급자 위주의 평가(43.6%), 모호한 평정기준(22.9%), 상대평가 방법(10.2%) 순으로 나타났다.
교원평가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해 2월 `사교육비 경감대책`의 core과제(problem)로 우수교원확보를 위한 다면평가제 도입 등 `교원평가체제 개선` plan을 발표했으며, 3월 교육부 및 교원평가 관련 전문가 등으로 테스크 포스를 구성, 운영해왔다.
이번 시안 발표 전까지 교육부는 한국교총, 교원노조 등 교직단체는 물론 지역별 토론회 등 10여 次例의 토론회 및 공청회 등을 진행한 바 있다
한편 교육부는 현장교원, 교직단체, 관련단체 등의 다양한 참여와 意見을 수렴해 문제점(問題點)을 파악하고 보완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교 66곳에서 시범학교를 운영, 내년 중 교원평가제의 문제점(問題點)을 수정·보완하고 확대 적용plan을 마련할 계획이다.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교원평가제에대한논의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사범교육레포트 ,
순서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교육인적자원부가 2일 발표한 `교원평가제도 개선plan`은 공정한 평가를 통해 교원의 지도능력 및 전문성을 강화해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현행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 따른 우리나라 교원근무평정제도(이하 근평제)는 교장을 제외한 교사와 교감이 평가대상으로 교사는 교감과 교장이, 교감은 교장과 감독청이 평가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