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리/ 주/ 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8 19:53
본문
Download : 공 리 주 의.hwp
2. 공리주의의 도덕성의 기준
☞ 어떤 행동의 결과가 관련된 사람들을 공평하게 고려해서 최대의 유용성을 산출하거나, 적어도 다른 대안적 행동이나 규칙과 같은 공리를 산출하는 행위는 옳다. 단지 좋은 결과를 위한 수단으로서만 유용성이 있을 뿐이다.☞ 공평성(impartiality)
- 어떤 사람의 이익도 다른 사람의 이익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계산되어져서는 안 된다된다.
3. 공리(유용성)의 정의(定義)
☞ 공리(유용성)은 어떤 좋은 목적 또는 좋은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용한 것. 즉, ‘본래적 좋음’에 대하여 유용한 것. 따라서 ‘본래적 좋음’의 표준이 무엇인가에 따라서 유용성에 대한 정의(定義)도 달라짐.⇒ 공리주의 가치론
4. 공리주의 가치론
&…(생략(省略))1) 벤담의 양적 쾌락 공리주의(양적 쾌락주의 + 공리주의)
다.
☞ 최대의 유용성을 산출하는 행위나 규칙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Download : 공 리 주 의.hwp( 15 )
,인문사회,레포트
공/ 리/ 주/ 의/공리주의 , 공/ 리/ 주/ 의/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공/ 리/ 주/ 의/
공리주의
공/ 리/ 주/ 의/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1. 기본적 특징
☞ 결과주의 theory- 행위의 옳고 그름은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되며, 옳은 행위란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
☞ 유용성(공리, utility)
- 행위 자체는 아무런 본질적 가치는 없다. 모든 사람의 이익은 공평하게 계산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