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1 20:07
본문
Download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hwp
레포트/인문사회
1) 표면적 이유- 소헌왕후를 추모하는 기복적 성격
‘석보상절 序’와 ‘월인석보 序’를 보면 월인천강지곡의 제작 동기와 경위가 나타나 있다 이 기록들과, 여래의 능력을 찬미하거나 공덕을 노래함으로써 기복적 효능를 기대하는 장들을 통해 ‘월인천강지곡’의 제작이 직접적으로는 세종의 妃인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함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동일은‘용비어천가는 널리 펴내어 국가적 이념을 굳히는 데 소용되었다면,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나 왕실 가족의 위안을 얻는 데 필요한 것이었다‘고 하였다.月印千江之曲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인문사회레포트 ,
월인천강지곡의 형성배경,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비교, 형식적, 내용구조적, 표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따라서, 월인천강지곡이 간행된 데에는 여러 이면적 이유가 있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2) 내면적 이유- 숭유억불의 사회적 상황
‘석보상절’이나‘월인천강지곡’은 당대 유학자들의 불교 배척 주장에 맞서 , 불교를 올바로 알리기 위한 의도로 제작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유교와 유학자들은 불교를, 삼강오륜을 무시하고 천당지옥, 생사화복설이 허황되다 등의 이유를 들어 비판…(skip)
月印千江之曲
Download : 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hwp( 63 )
다.월인천강지곡 (月印千江之曲)
순서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월인천강지곡의 형성배경,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비교, 형식적, 내용구조적, 표기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공덕, 호국적 성격의 불경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비해, ’석보‘와 이에 대한 노래까지 지어진 것은 보기 드문 경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