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9 23:38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hwp
7. 향교의 사회적 기능
1) 이념적 국가기구: 인재의 육성과 지방민의 교화라는 목적으로 설립된 향교는 학교의 기능과 이념적 국가기구로서의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수행했다.
2) 국가는 군, 현으로 대표되는 전국의 329개 단위 행정구역에 향교를 하나씩 설립했다.
2) 통치 체제에 필요한 관료자원의 확보 : 지방에 설치된 중등 수준의 향교는 양반사족으로 대표되는 향촌사회의 인재를 국가의 이념을 교육하여 통치체제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3) 향교생의 특전 : 향교의 교생은 군역을 면제받았으며,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은 자는 생원진사시의 초시를 면제받았다.
4. 향교의 입학자격과 학생
1) 입학자격 : 향교의 입학자격에 신분에 대한 법적 규제는 없었으나,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양반과 양인의 자제가 입학하였다. 이는 양반의 자제들이 시설과 선생의 질이 떨어지는 향교를 기피하여 학적만 보유한 비정규생으로 등록되어 있었기 때문일것이다
5. 향교의 교과
1) 향교의 교과는 소학, 사서, 오경, 성리대전, 근사록, 삼강행실 등의 경전과 통감, 송원절요 등의 歷史(역사)서, 향약, 가례 등이었다.
2) 양사재(養士齋)의 운영: 향교의 교육기능이 평가에만 국한되자, 조선 후기 각 향교에서는 「양사재」라고 하는 별도의 교육기구를 설치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조선 관학 향교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다.
6. 향교의 성격 變化
1) 교육기능이 평가에만 국한: 조선 후기로 갈수록 향교의 학교기능이 약화되고, 석전행사 뒤에 모인 생도들에게 시험을 보는(춘추강회) 평가기능에만 국한되게 되었다.
3. 향교의 구조와 조직
1) 구조 : 향교는 크게 문묘와 학교로 구성되어 있따 성균관에 비해 그 규모만 작을 뿐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활동과 행사는 성균관과 거의 유사했다.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
인문,사회,조선,관학,향교,인문사회,레포트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양사재는 향교의 재정과는 별도로, 설립 당시 모금한 기금으로 운영되었다.
4) 향교의 실제 교생 : 향교의 실제 교생들은 군역을 면제받으려는 평민자제가 대부분이었다.
2) 입학절차 : 향교 교생 10인의 추천과 소학을 시험하여 입학을 허가하였다.
2) 향촌에 유교적 습속의 보급: 문묘에서 석전제를 위시한 각종의 유교적 의례행사를 치러, 향촌사회에 유학의 이념을 보급하는 한편 그것에 입각한 사회풍속을 세우고자 했다.
2) 이중에서도 「소학」은 특별히 중시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인문][사회] 조선의 관학 - 향교.hwp( 58 )
순서
설명
조선의 관학 - 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