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어의 의미와 범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7 18:46
본문
Download : 평어의 의미와 범주.hwp
또한, 순수한 시론서로서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신경준의 『시칙』은 시품을 10가지로 제시해 놓았는데, ‘평담, 기공, 호장, 침심, 웅혼, 절지, 창고, 청한, 려염, 험절’등으로 이는 억지로는 이룰 수 없는…(省略)
다.






평어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글입니다.
Download : 평어의 의미와 범주.hwp( 41 )
순서
평어의의미와범주
평어의 의미와 범주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사공도와 같이 시의 품격을 3품으로 나누었다. 상품과 차품에 대상으로하여는 대개 중국(China)의 비평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아 최하품의 병은 시격이 떨어지고 음탕한 시나, 인간의 성정교화에 도움이 안되는 시를 말한다. 이이는 품격의 우열을 두어서 충담소산을 선두로 시품을 배열하였다.평어의의미와범주 , 평어의 의미와 범주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평어의 의미와 범주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상품 : 신기 · 절묘 · 일 · 함축 · 험괴 · 준매 · 호장 · 부귀 · 웅심 · 고아
차품 : 정준 · 주긴 · 상활 · 청초 · 표일 · 경직 · 굉첨 · 화유 · 병환 · 격절 · 평담 · 고막 · 우한 · 이광 · 청완 · 교려
병 ; 생졸 · 야소 · 건삽 · 한고 · 천속 · 무잡 · 쇠약 · 음미
위의 평어의 분류는 사공도의 24칙을 기준으로 하되 좀 더 變化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후에 시품을 체계적으로 요점한 사람은 율곡 이이가 있다아 이이는 『정언묘선』이라는 책을 편찬하면서 미학적범주를 기준으로 시를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