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reality(실태) 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9 20:18
본문
Download :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hwp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1. 연령별 분포 , 2. 홍역환자에서 비타민 A치 , 3. 홍역의 주요 임상증상과 비타민 A치와의 관계 , 4. 입원 기간에 따른 말초혈액 및 생화학검사 소견의 비교 , 5. 합병증 , 6. 예방접종력, 7. 연령별 백신접종력, , filesize : 72K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은 급성 바이러스성 발진성 질환으로 발열, 콧물, 결막염과 홍반성 구진을 특징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65년부터 홍역백신을 접종하여 홍역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1989-1990년과 1993-1994년에 유행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들을 대상으로 비타민 A치를 측정(measurement)하여 비타민 A치에 따른 임상…(省略)
레포트/의약보건
순서
Download :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hwp( 62 )
홍역,환자,홍역,홍역,예방접종,홍역백신,의약보건,레포트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1. 연령별 분포 , 2. 홍역환자에서 비타민 A치 , 3. 홍역의 주요 임상증상과 비타민 A치와의 관계 , 4. 입원 기간에 따른 말초혈액 및 생화학검사 소견의 비교 , 5. 합병증 , 6. 예방접종력, 7. 연령별 백신접종력, , FileSize : 72K ,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실태에 관해의약보건레포트 , 홍역 환자 홍역 홍역 예방접종 홍역백신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reality(실태) 에 관해
설명
다. 합병증으로 기관지 폐렴,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쿠룹, 급성 중이염 등과 뇌염이나 아급성 경화성 뇌막염 등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1954년 Enders등1)이 홍역 바이러스를 조직 배양하여 분리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그후 불활성화 사백신이 개발되었으나 접종 후 비정형 홍역(atypical measles)의 발생으로 1963년에 개발된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하고 있따 Thomas등2)은 홍역에 이환되면 비타민 A치가 감소하며, 비타민 A를 투여하면 홍역을 완화시킬 수 있어 중한 경과를 밟고 있는 모든 홍역 환아들에게 투여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Markowitz등3)은 비타민 A치가 낮은 경우 사망율이 증가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