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06:34
본문
Download :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pptx
다.
설명
→ 18 세기 (Linnaeus의 업적)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
Download :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pptx( 52 )
1809년 무척추동물 - 적충류, 폴립류, 방사류, 연충류, 곤충류, 거미류, 갑각류,
→ 19 세기 전, 후
(생물의 종들은 공동조상으로부터 진화하여 갈라져 나온 것이기 때문에 모든 생물의
중위도부근은 고압대가 형성되어 강우는 지형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대륙에 의해 남북이 다소 다른 점(강우↓)
- 척추동물, 그 외 것들을 무척추동물
환충류, 만각류, 연체류 그 이휴 피낭류, 유각류 (12류)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위도에 의한 대기순환의 차이와 지형의 영향을 받아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적도부근은 남과 북의 양방에서 기류가 흐르게 되는데 열대수속대가 됨(강우↑) 중위도부근은 고압대가 형성되어 강우는 지형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대륙에 의해 남북이 다소 다른 점(강우↓)
무리들 사이에는 멀고, 가까운 유연관계가 있다는 사상이 분류학에 침투)
1794년 무척추동물 - 연체류, 곤충류, 연충류, 극피류, 폴립류
적도부근은 남과 북의 양방에서 기류가 흐르게 되는데 열대수속대가 됨(강우↑)
체계적인 분류를 위한 분류학적 범주
이명법 = 학명 + 속명 Sepioteuthis sepioidea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953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5D%20%EB%8F%99%EB%AC%BC%EA%B3%84%EC%9D%98%20%EB%B6%84%EB%A5%98%EC%99%80%20%EA%B3%84%ED%86%B5-9536_01.jpg)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953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5D%20%EB%8F%99%EB%AC%BC%EA%B3%84%EC%9D%98%20%EB%B6%84%EB%A5%98%EC%99%80%20%EA%B3%84%ED%86%B5-9536_02_.jpg)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953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5D%20%EB%8F%99%EB%AC%BC%EA%B3%84%EC%9D%98%20%EB%B6%84%EB%A5%98%EC%99%80%20%EA%B3%84%ED%86%B5-9536_03_.jpg)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953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5D%20%EB%8F%99%EB%AC%BC%EA%B3%84%EC%9D%98%20%EB%B6%84%EB%A5%98%EC%99%80%20%EA%B3%84%ED%86%B5-9536_04_.jpg)
![[일반생물학] 동물계의 분류와 계통-953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5D%20%EB%8F%99%EB%AC%BC%EA%B3%84%EC%9D%98%20%EB%B6%84%EB%A5%98%EC%99%80%20%EA%B3%84%ED%86%B5-9536_05_.jpg)
Carolus Linnaeus(스웨덴, 1707~1778) : 분류학의 아버지
1859년 Darwin의 The origin of Species 을 출간
Lamarck(프랑스, 1744~1829) : Linnaeus의 포유류, 조류, 양서류, 어류가 분류
위도에 의한 대기순환의 차이와 지형의 영향을 받아 지역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