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말문화와 언어예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6 06:33
본문
Download : 한국의 말문화와 언어예절.ppt
겉으로만 아는 체 하고 능한 체 하는 자는 소인이다.
한국의 말문화와 언어예절
직장에서의 경어법과 직장에서의 호칭과 지칭 그리고 만나고 헤어질 때의 인사말 및 전화를 받을 때와 끊을 때의 말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explanation)한 임
3. 유교의 말하기 원칙
9. 직장에서의 호칭, 지칭(1)
장차 배반하려는 사람은 그 말이 부끄럽고, 마음에 의심하는 사람은 그 말이 지루하고, 길한 사람의 말은 적고, 조급한 사람의 말은 많고, 위선자는 그 말이 뜨고, 지조를 잃은 사람은 그 말이 비굴하다. 그러므로 군자가
6. 국어 대우 표현
1. 유교와 한국의 말 文化(culture)
Download : 한국의 말문화와 언어예절.ppt( 89 )
아는 것을 안다고 하며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은 말하는 요령이고, 할 수 있는 것을 할 수 있다고 하고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행동의 요령이다. 이미 지혜롭고 어진데 또 무엇을 더하겠는가? <『孔子家語(공자가어) 』>
설명
15. 겸손하게 말하기
10. 직장에서의 호칭, 지칭(2)
본 는 한국의 말문화와 한국의 언어예절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한 로 한국어의 말의 속도, 금기표현, 대우 표현과 잘못된 경어법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하였으며,
8. 직장에서의 경어법(1)
[목 차]
16. 부탁과 거절하기





8. 직장에서의 경어법(2)
7. 잘못된 경어법
다.
[본 문 내 용]
2. 유교文化(culture) 의한 언어교육
5. 한국의 금기 표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한국의 말문화, 한국어의 말의 속도, 한국의 금기표현, 잘못된 경어법, 직장에서의 경어법
11. 아침 인사
말에 요점에 있으면 지혜롭고, 행실에 요점이 있으면 어질다. (『주역』)
12. 만나고 헤어질 때의 인사말
순서
1. 유교와 한국의 말 文化(culture)
13. 전화를 받을 때와 끊을 때의 말
14. 전화를 걸 때의 말
4. 한국어의 말의 속도
본 자료는 한국의 말문화와 한국의 언어예절에 대해 설명한 자료로 한국어의 말의 속도, 금기표현, 대우 표현과 잘못된 경어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직장에서의 경어법과 직장에서의 호칭과 지칭 그리고 만나고 헤어질 때의 인사말 및 전화를 받을 때와 끊을 때의 말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 자료임
말을 신중하게 하는 자는 소란스럽지 않고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는 자는 자랑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