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중국) 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8 05:38
본문
Download : 중국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hwp
1. 동보식 복합 동사의 origin
(2) 不可再做錯了. (朱13)
사방에서 불을 붙여 태워 죽였다.
본고에서는, china어에서 결과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보어] 형식의 복합 동사, 즉 ‘동보식 복합 동사’에 관련되어 analysis하려 한다.
china(중국) 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太田은 가.의 사역식 복합 ...
중국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Download : 중국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hwp( 34 )
다시 잘못을 저질러서는 안 된다된다. 즉, 동보식 복합 동사는 중심어 이동(Head movement)의 일종인 동사 인상(Verb Raising)을 경유하여 통사적으로 형성된다는 점, 또한 이 절차에 의하면 동보식 복합 동사문의 목적어가 두 개의 θ역할을 지니지 않게 되며, 그 결과 θ-criterion에 위반되지 않고 격 부여에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 그것이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太田은, 명확히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는 동보식 복합 동사의 후항1)이 ‘동작 주체나 동작 대상자’에 대하여 무언가를 서술하는 유형이지만, 나.는 동보식 복합 동사의 후항이 전항인 동사 그 자체에 대하여 무언가를 서술하는 유형이고 생각했다고 할 수 있따 나.는 가.로부터 유추에 의해 생긴 것이라는 太田의 설에 따라 본고에서는 나.의 유형에 관련되어는 논의하지 않겠다. 가. 사역식 복합 동사(使成複合動詞) 打倒, 推倒, 拉倒
(1) 四畔放火燒死. (舜子至孝變文 p.2721)
나. 결과식 복합 동사(結果複合動詞) 寫好, 學好, 辦好
그는 이어서 고대 china어의 예로 다음의 예문을 들고 있따 (1)은 가.의 예이고 (2)는 나.의 예이다.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본고에서는, china(중국) 어에서 결과 의미를...
순서





다.
太田에 의하면, 사역식 복합 동사는 늦어도 당대(唐代)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데, 결과식 복합 동사는 사성복합 동사로부터 유추(analogy)에 의해 생긴 것이어서 형성 시기가 더 늦기 때문에 당대 이전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0. 들머리
동보식 복합 동사의 형성 0. 들머리 본고에서는, 중국어에서 결과 의미를...
설명
太田辰夫(1958 204-210)는 china어의 동보식 복합 동사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었다. 이 analysis은 GB theory(이론)의 틀 안에서 주로 다음 사항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