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부모,교사의 인식수준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4 02:36
본문
Download : 정신지체학생의성인기전환을위한.hwp
1. 연구대상
정신지체 학생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전환계획과 부모,교사의 인식수준비교
2.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Ⅲ. 연 구 방 법
설명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 학생들이 학교에서 가정으로, 학교에서 직장으로, 학교에서 지history회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기결정력과 전환계획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수준을 밝힘으로써 장애 학생들의 효율적인 전환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따
1. 전환계획에 대한 교사와 부모간의 인식수준
정신지체학생 자기결정 전환계획 전환교육 성인기전환 / Abrey, B. H.(1994). A conceptual framework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Challenges for a service system in transition, Baltimore : Brookes, p. 32-41.
4. 자기 결정력에서의 부모와 교사의 역할
Ⅱ. 이론적 배경
Field, S., Hoffman, A., Peter, S., & Sawilowsky, S.(1992). Effects of disability labels on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5, 931-934.
Grigal, & Elizabeth, M.(2001). A survey of parents and teachers of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garding transition and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Download : 정신지체학생의성인기전환을위한.hwp( 25 )
Determination : signal a system change?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3, 85-104.
정신지체 학생 5,000명을 대상으로 성인기 결과에 대한 Wehmeyer과 Metzler(1995)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 중 56%가 자신의 직장을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였고, 66%는 어디에 살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부족한 것으로, 그리고 88%는 자신들을 도와 줄 수 있는 인적 자원에 대한 결정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하여 교육 실천의 전면적인 개혁을 주장한 바 있따
이러한 통계자료에 근거할 때 많은 장애 학생들이 자신의 future 에 대비하기 위해 역동적인 활동을 하거나 자신의 삶에 influence(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진로나 생애 결정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은 그다지 놀라운 일이 아닐것이다. .
Ⅰ. 서 론
3. 연구 도구
이러한 미고용율이나 중도탈락율은 비장애인에 비해 거의 3배 수준에 육박하는 수치이며, 이는 특수교육의 problem(문제점)을 단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통계적 수치라 할 수 있따
순서
2. 제 언
1. 연구의 필요성(必要性)
정신지체학생 자기결정 전환계획 전환교육 성인기전환 / Abrey, B. H.(1994). A conceptual framework for enhancing self-determination. Challenges for a service system in transition, Baltimore : Brookes, p. 32-41. Agran, M., & Hughes, C.(1998).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 Self - Determination : signal a system change?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23, 85-104. Asselin, S., Todd-Allen, B., & deFur, S.(1998). Transition Coordinators: Define Yourselves. Exceptional Children, 30, 11-15. Field, S., Hoffman, A., Peter, S., & Sawilowsky, S.(1992). Effects of disability labels on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self-determin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75, 931-934. Grigal, & Elizabeth, M.(2001). A survey of parents and teachers of students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garding transition and self-determin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Hairing, K. A., Lovett, D. L., & Saren, D.(1991). Parent perceptions
Ⅳ. 연구 결과
2. 전환계획에 대한 부모의 참여
Agran, M., & Hughes, C.(1998).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 Self -
Asselin, S., Todd-Allen, B., & deFur, S.(1998). Transition Coordinators: Define Yourselves. Exceptional Children, 30, 11-15.
다.
정신지체학생 자기결정 전환계획 전환교육 성인기전환
2. 연구의 목적
Ⅴ. 결론 및 제언
3.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
Hairing, K. A., Lovett, D. L., & Saren, D.(1991). Parent perceptions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Valdes와 Williamson 그리고 Wager(1990)는 특수교육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의 경우 4명당 1명꼴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중도 탈락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졸업후 3-5년 사이의 미고용율이 무려 43%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따
1. 장애인의 성공적인 성인기 전환과 자기 결정력과의 관계
1. 결 론
2. 자기결정에 대한 교사와 부모간의 인식수준
자기 결정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로는 현재의 특수교육으로는 장애학생들이 성인기 생활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데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인식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인의 자기 결정력은 학교에서 성인기 생활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부분의 장애인들의 경우 자신의 future 를 결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