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보교육]프로이드 theory(이론)의 중심槪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2 10:43
본문
Download : 1=부모교육-프로이드 이론의 중심개념.hwp
▶보상(補償): 어떤 분야에서 탁월하게 능력을 발휘하여 인정을 받음으로 해서 다른 분야의 실패나 약점을 보충하여 자존심을 고양시키는 기제이다. 여러 가지 욕동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에 의해서 충만되어 있고, 쾌감 원칙을 엄수하여 욕구 특히 성욕을 만족시키려는 움직임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퇴행(退行): 생의 초기에 성공적으로 사용했던 생각이나 감정과 행동에 의지하여 자기 자신의 불안이나 위협을 해소하려는 과정이다.
▶감정전이(感情轉移): 자신이 느낀 감정을 다른 대상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이 기제는 억압과 같은 목적을 갖고있지만 개인의 의식적 의도가 있는 것이다. 기질적 장애가 없는데도 실제로 신체적 고통을 느낀다.
▶히스테리: 사람이 어렵고 힘든 사태에서 잘 벗어날 수 있는 신체적 증상을 발달시키는 기제이다.
▶투사(投射):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는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마치 다른 사람의 것인 양 생각하고 남을 탓하는 것이다.
▶억제(抑制): 해롭고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과 충동에 대해서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하다.
프로이드 theory(이론)의 중심槪念
레포트 > 교육계열
Download : 1=부모교육-프로이드 이론의 중심개념.hwp( 95 )
다. 원초아(id)는 선천적인 본능적 충동의 덩어리로서 정신 에너지의 근본이 되는 완전 무의식적이다. 예)미혼모가 애를 가졌을 때 그 애에 대해서 익애하는 경우.
▶동일시(同一視): 자기가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대상과 자기 자신 또는 그 외의 대상을 같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원초아는 리비도의 저수지라고 할 수 있지만, 깊어서 어둡고 혼돈스러워 그것이 어떤 성질을 가진 것인지 알기 어려우며, 사실 잘 모르는 상태이다.프로이드 이론의 중심개념 프로이드에 의하면 의식 세계는 성격의 형성과 관련이 깊고 이러한 성격의 기능적 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세가지로 나눈다. 여러 가지 욕동으로부터 나오는 에너지에 의해서 충만되어 있고, 쾌감 원칙을 엄수하여 욕구 특히 성욕을 만족시키려는 움직임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원초아는 리비도의 저수지라고 할 수 있지만, 깊어서 어둡고 혼돈스러워 그것이 어떤 성질을 가진 것인지 알기 어려우며, 사실 잘 모르는 상태이다.
▶승화(昇華): 정서적 긴장이나 원시적 에너지의 투입을 사회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행동 방식으로 표출하는 것을 말한다.
순서





설명
▶반동형성(反動形成): 자신이 갖고 있는 죄의식을 본래의 행동과 완전히 반대되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억압(抑壓): 억압이란 수치스럽다고 느끼는 생각, 죄의식, 괴로운 경험 그리고 싫증나는 일들을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의식 세계는 성격의 형성과 관련이 깊고 이러한 성격의 기능적 구조를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세가지로 나눈다. 원초아(id)는 선천적인 본능적 충동의 덩어리로서 정신 에너지의 근본이 되는 완전 무의식적이다.
▶합리화(合理化): 정당하지 못한 자기 행동에 그럴듯한 이유를 붙여 그 행동을 정당화하여 불안 의식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불쾌감을 일시적으로 해소하지만 사람에 대해 의존적이고 우유부단하게되고 새로운 變化에 두려워한다. 예)어머니에게 꾸중들은 것을 개에게 푼다던가, 옛날 애인데 대한 감정을 비슷한 여인에게 표출하는 형태.
부모교육,프로이드 이론의 중심개념
[부보교육]프로이드 theory(이론)의 중심槪念
▶치환(置換): 사람의 에너지를 원래의 目標(목표)에서 대용 目標(목표)로 전환시킴으로 해서 긴장을 해소하는 방식인데 대용 目標(목표)와 원래 目標(목표)가 아주 유사할 때에만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