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2 20:17
본문
Download :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관하여.hwp
여성의 선원취업을 전면금지한 「선원법」(1962.1.10)을 제정한 것이라든지, 「공무원임용령」(1963.5.29)과 「지방공무원임용령」(1963.12.12)의 정년규정에서 여성들이 절대다수로 근무하는 교환직, 타자직을 다른 직종보다 낮게 정한 것이 그것이다.






Download :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관하여.hwp( 93 )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관하여
○ 1960-1970년대: 명목적 여성보호와 실질적 여성노동의 제한
위와 같이 여자근로자의 보호규정을 통하여 여성노동의 활용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를 마련하는가 했더니, 1960년=1970년대에는 바로 그런 이유를 들어 여성의 노동권을 제한한 조치가 취해졌다. 「공무원임용시험령」(1973.3.30)과 「지방공무원임용시험령」(1973.5.17)에 남녀분리채용규정을 두어 각 행정기관에서 여성공무원의 채용을 약 10-20%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drop)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대하여
2004_2_7282_11_여성과노동서경오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대하여2004_2_7282_11_여성과노동서경오 , 한국 여성의 고용과 노동에 관하여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다.
물론, 여성의 취업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한 법제도 있었다.
나아가 노골적으로 남녀의 노동을 달리 취급하여 여성의 노동권을 제한한 事例도 있었다. 이는 여성노동을 보호한다는 의미도 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여성의 취업기회와 평등한 노동권을 제한한 결과가 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