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김치의 由來와 세계속의 김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3 05:59
본문
Download : 한국김치의 유래와 세계속의 김치.hwp
그‘지’의 뿌리는 염적한 소채를 의미하는 한문 ‘저(菹)’가 어원일것이다.순서
한국김치의 由來와 세계속의 김치
한국김치의 유래와 세계속의 김치에 대한 글입니다.김치 , 한국김치의 유래와 세계속의 김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김치의 유래와 세계속의 김치.hwp( 19 )
레포트/인문사회
김치
우리나라 남도 지방 특히 전라도 전역에서 통용되는 김치의 방언이 ‘지’다김치가 짠지로 통용되는 지역도 꽤넓다.
<훈몽자회(訓蒙字會)>를 보면 ‘딤채 저(菹)’로 되어 있고 정교의 <동언교략(東言巧)>에 보면 “염수에 채를 침(沈)한 것을 지라 함은 저이(菹伊)요”라 했다.한편 일본 에서는 소금절임, 장아찌, 강지, 지게미,침지등이 있어 반 발효채소 내지 장아찌류가 만들어 지고 있으나 中國과 일본의 채소발효는 그리 발달되지 않고 있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김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문헌상으로는 고려중엽 이규보의 가포육영(家匍六詠)이란 시에 처음으로 염지란 용어로 등장한다.
설명
다.
中國에서는 고대에 菹(절임,저 막을 저)라는 채소의 절임류가 있어 각종 채소류의 염지 ,장침,산장드잉 제조되었으나 현재에는 산채와 포채가 있는 정도이다.문헌에 보면 김치로 생각되는 말은 약3,000년 전의 詩經에 저 (菹,절임 저)라고 처음 등장하는데 이 글자는 막힐 조(阻)라고도 하였다.배추나 무를 소금에 적신다는 뜻으로 中國의 菹가 우리나라에서는 債로 변환된 것…(생략(省略))






한국김치의 由來와 세계속의 김치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