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3 04:31
본문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다른 한편으로는 제도적 의식의 예를 통해서 감독자와 수용자의 경계선이 약화되는 사회적 상황도 존재하나 그것은 일시적일 뿐, 궁극적인 거리감은 여전히 크다고 할 수 있따
개인이 일단 총체적 기관에 수용되면 개인성을 상실하고 그 environment에 재사회되는 과정…(省略)
설명


순서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35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고프만의상징적상호작용론과사회통제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고프만의상징적상호작용론과사회통제
다.
고프만의 총체적 기관의 특성(特性)으로 1.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권위 2.수용자들이 매일매일의 생활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짐 3.모든 일과가 꽉 짜여진 스케쥴에 따라 행해짐. 4. 강요된 모든 활동은 그 기관의 公式 적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치밀하게 고안된 합리적 계획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따 총체적 기관의 유형은 양로원이나 고아원, 정신병원, 감옥, 군대, 수도원등의 형태로 다섯가지로 분류했다. 그리고 총체적 기관에서 두 집단 사이의 사회적 거리감은 매우 크다.
총체적 기관의 조직은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뉘어진다.
총체적 기관
그 구성원들을 일정기간 동안 바깥세계로부터 격리시킨 채 公式 적으로 규격화되고 통제된 생활을 하게 함으로 인간의 개체성을 말살시키려고 시도하는 조직을 의미한다. 소규모 감독과 대규모 수용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