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2 22:11
본문
Download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hwp
3. 고교선택제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학교선택제의 논의는 고교평준화 정책과 관련이 있다 고교평준화 정책은 우리나라 고교입시에 따란 교육적, 사회적 문제의 완화에는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한 것이 사실이다. 또한, 각 고등학교 간 학생, 교원, 시설 등 심한 격차로 세칭 1류고와 3류고 등으로 분류되어 학생과 학부모사이 위화감까지 조성하게 되었다. 1986년에는 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과학고가 특수목적고로 편입되었고,1992년에는 어학영재 양성을 위한 외국어고가 특수목적고에 추가되었다.
2. 고교평준화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은 대한민국에서 1974년 이후로 시행된 지역 간 고등학교 수준의 차이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로,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학생을 자율적으로 선발하지 않고 전체 학생을 추첨을 통하여 학생이 속한 학군별로 각 지역의 일반계 학교에 나누어 배정하는 것을 방법으로 하는 제도이다
가. 고교평준화 정책의 도입 배경 및 도입 목적
- 1969년 시행된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로 인하여 입시 준비 교육 단계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단계로 옮겨가면서 과열된 고등학교 입시준비 양상이 나타났다. 즉, 입시준비를 위해 학교 교육과정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학생의 전인발달이 저해되었고, 학부모들은 학교 밖에서 행해지는 과외수업 등에 과도한 사교육비를 부담하게 되어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풍조까지도 만연하게 되었다.
당시 고등학교 교육 여건의 평준화를 위하여, 부실학교 정리(arrangement) 및 학교시설 정비, 교원자질 향상 및 처우改善(개선) , 사립학교 육성 및 지원, 도심지 학교 외곽 이전 및 학군 세분화, 학교 및 교사의 과외금지, 농·어촌지역 학교 육성정책 등을 시행하기로 하였다.
- 도입 목적
① 중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촉진
② 고등학교의 평준화를 기하여 학교 간 격차를 해소
③ 과학 및 실업교육을 진흥
④ 지역 간 교육의 균형 발전을 도모
⑤ 국민의 교육비 부담을 경감
⑥ 학생인구의 대도시 집중경향을 억제
나. 고교평준화 정책
1973년 발표된 ‘고교평준화 정책’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입시는 후기에 실시하며, 학군을 설정하고, 선발 고사에 의해 입학 자격자를 선발한 후 학군별 추첨으로 학생을 배정하기로 한 정책이다. 현재까지 각 정권에서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고교입시경쟁이 부활할 경우 발생하는 사회적 교육적 비용을 우려, 현재까지 평준화 정책을 기본으로 하여 고교 다양화 방안(方案)을 모색하고 있다
1973년 government 는 학교의 건학이념과 설립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학생선발권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8개 학교를 특수목적고로 지정하였다. 초중등교육법상의 과학, 어문계열 특수목적고의 설립 목적은 각 분야의 영재양성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이들 설립에 기초가 된 정책 보고서에
설명
Download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hwp( 23 )
다.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교육사회학,서울시,고교평준화와,고교선택제,경영경제,레포트
순서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경영경제레포트 , 교육사회학 서울시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레포트/경영경제
교육사회학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교육사회학
- 서울시의 고교평준화와 고교선택제 -
목차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