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지정학정 위치와 대외적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3 18:34
본문
Download : 북한사회.hwp
이와 같이 냉전시기의 북한은 ‘혁명’과 ‘해방’을 완수하는데 대외정책의 목표(goal)를 두고 있었다. 한편 김일성은 최고인민회의 제8기 1차회의 시정연설을 통해“조선혁명은 세계혁명의 한 부분이며, 사회주의의 완전승리와 조국통일의 歷史적 위업을 앞당겨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제혁명력량과의 련대성을 강화하고 우리 혁명에 유리한 국제environment(환경) 을 마련”하는 것이 대외정책의 주요과업임을 주장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북한의 지정학정 위치와 대외적환경, Ⅰ. 지정학적 위치, 제1절. 남북한의 지정학적 위치, 제2절.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가 주변국가에 미치는 영향, Ⅱ. 대외적 환경, 제 1 절. 대외환경의 변화, 제 2 절. 북한의 대외정책, , 1. 대외정책의 기조 , , (1) 대외정책 목표 , (2) 김정일 체제의 대외정책 방향 , 2. 대외정책 기구, 3. 대외정책의 전개 , 4. 주요국가와의 외교실태 , 5. 대남관계, , , , FileSize : 75K , 북한의 지정학정 위치와 대외적환경인문사회레포트 , 북한의지정학정위치와대외적환경 북한학 북한
북한의 지정학정 위치와 대외적환경
북한의 지정학정 위치와 대외적환경, Ⅰ. 지정학적 위치, 제1절. 남북한의 지정학적 위치, 제2절.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가 주변국가에 미치는 영향, Ⅱ. 대외적 환경, 제 1 절. 대외환경의 alteration(변화) , 제 2 절. 북한의 대외정책, , 1. 대외정책의 기조 , , (1) 대외정책 goal(목표) , (2) 김정일 체제의 대외정책 방향 , 2. 대외정책 기구, 3. 대외정책의 전개 , 4. 주요국가와의 외교실태 , 5. 대남관계, , , , filesize : 75K
다. 북한은 이와 같은 외교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한 전술노선으로서 공화국 북반부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역량 강화, 남조선 혁명역량 강화, 국제혁명역량과의 단결․강화 등 ‘3대혁명역량 강화노선’을 채택하였다.북한의지정학정위치와대외적환경,북한학,북한,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북한사회.hwp( 80 )
설명






(1) 대외정책 목표(goal) 일국의 대외정책 목표(goal)는 국가목표(goal)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바, 과거 냉전기 북한의 외교목표(goal)는 당규약과 구사회주의헌법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요점될 수 있따 첫째, 최소목표(goal)로서 현존 북한체제의 유지 및 발전이며 둘째, 최대목표(goal)로서 한반도 공산화 통일과 전세계 공산화 달성이다. 그러나 탈냉전시대의 도래 등 대내외적 environment(환경) 변화와 이로 인한 3대혁명역량의 전반적 약화는 북한의 외교목표(goal)에 변화를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