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30 01:58
본문
Download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hwp
2) reaction response적 행동
고전적 조건화는 어떤 자극에 유기체가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어떤 reaction response을 일으키 게 만드는 속성 때문에 reaction response적 조건화라고도 불리며, 이렇게 조건화에 의해 형성된 행동을 reaction response적 행동이라 한다. 행동주의 이론(理論)은 인지, 감각, 본능 등과 같은 관념은 내성적이고 관념적인 것들로 과학적 연구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자극과 reaction response에 의해 학습 또는 수정되는 觀察(관찰) 가능한 인간행동이 연구의 초점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동물은 다음에 종소리만 들어도 침(조건reaction response)을 흘리게 되는 경우이다.
ex) 타액분비, 눈물, 재채기, 수업시간에 교수가 질문을 하면 초조해 하는 행동 등
3) 조건화가 성립하기 위한 원리
?시간의 원리 - 조건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시간적으로 동시에 혹은 그에 조금 앞서서 주어져야 효율적이다. 행동주의 이론(理論)은 고전적 조건화, 조직적 조건화 그리고 인지적 학습이라는 세 가지 접근방법으로 분류된다
제 1절 인간관
1. 공통점
(1) 인간의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은 environment적 자극이다.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1.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2.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3.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4.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5.gif)
%20Skinner%EC%9D%98%20%EC%A0%84%ED%86%B5%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EC%99%80%20Bandura%EC%9D%98%20%EC%9D%B8%EC%A7%80%EC%A0%81%20%ED%96%89%EB%8F%99%EC%A3%BC%EC%9D%98_hwp_06.gif)
다.
(2) 강화를 change(변화)시켜 인간행동의 change(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간본성은 가변적이다. 인간 행동은 선행하는 사건 즉 선행요인과 뒤이어 일어나는 사건 즉 결과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고 있으며 선행요인의 Cause 이 되는 자극을 조정함으로 결과인 reaction response 즉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본다.
2.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理論)의 기본가정
1) 인간행동은 environment적 자극에 의해 동기화 되며 개인의 인지적 요인과 다른 내적 사건들에 의해 중재되어야 최종행동이 결정된다
?P : 개인의 인지적 요인 및 내적 사건
?B : 행동
?E : 외적environment
B E
2) 인간은 자기효율성을 성취하는 방향으로 행동으로 규제할 수 있다
3) 새로운 행동의 학습은 외적 강화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고 본보기 행동이나 대리적 강화를 통해서도 새로운 행동의 학습과 창출이 가능하다.
?강도의 원리 - 조건 반사적인 행동이 이루어지려면 먼저 준 자극의 강도에 비해 후속 하는 자극이 적어도 같거나 보다 강해야만 바람직한 reaction response을 일으키는데 효율적이다.
행 동
2) 인간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없다. 즉 행동을 유발하는 힘이 없는 중성자극에 reaction response유발능력을 불어넣어 조건자극으로 change(변화)시키는 과정이 고전적 조건화이다.순서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기타레포트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 인지적 행동주의
스키너와,반두라,Skinner,전통적,행동주의와,Bandura,인지적,행동주의,기타,레포트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즉 reaction response적 행동은 인간 유기체가 특정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reaction response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레포트/기타
설명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
Download : (스키너와 반두라)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hwp( 20 )
Skinner(스키너)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반두라)의 인지적 행동주의 비교
- 목 차 -
제 1절 인간관
제 2절 기본가정
제 3절 주요관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