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공학화학실험 평형상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08:01
본문
Download : 공학화학실험 평형상수.pptx
)
∆ G = G(생성물) - G(반응물) = 0
G˚(생성물) < G˚(반응물)
0.01M KI, 0.01M Na2S4O6
계는 반응식에서 왼쪽으로 진행된 후 평행에 도달.
- 단위 시간에 변화된 반응물 및 생성물의 mol농도.
G(생성물) = G(반응물)
G˚(생성물) > G˚(반응물)
○ 기 구
공학화학실험 평형상수
○ 시 약
∆G˚ < 0 일 때
반응속도의 definition
Download : 공학화학실험 평형상수.pptx( 49 )
- 분별깔때기, 피펫, 뷰렛(50ml), 스탠드
- 0.025M KI3
반응계가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에너지 값.
공학화학실험,평형상수,화학평형상수
순서
다. ∆G˚ > 0 일 때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계는 반응식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 후 평행에 도달.
계는 평형상태에 있따
눈금실린더(25ml)
설명
화학적 평형에서 반응속도.
G˚(생성물) = G˚(반응물)
∆G˚ = 0 일 때
- 화학평형에서의 반응물 및 생성물의 농도 변화는 없으므로
- 전체적 반응속도는 0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평형점이란
화학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평형상태에 존재하는 각 화학 종의 농도를 측정하여 화학평형상수를 계산하여 본다.
삼각플라스크 or 비커(10ml)
- 0.1M KI, 0.1M HCL
- 반응속도 상수는 농도에 무관하고





(0.0200M KI 1L당 0.025몰의 I2를 녹여서 만든다.
화학reaction 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평형상태에 존재하는 각 화학 종의 농도를 측정(測定) 하여 화학평형상수를 계산하여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