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한민족 공동체 아시아 중추 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 아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2 23:14
본문
Download : 한민족 공동체 아시아 중추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hwp
이런 가운데 특히 1990년대 초반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은 세계 각...
설명
아시아 중추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성경륭 (정책기획...
[인문사회] 한민족 공동체 아시아 중추 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 아시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한민족 공동체 아시아 중추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hwp( 54 )
다. 탈냉전과 함께 지금까지 접근이 금지되었던 구공산권 국가들과 다양한 형태의 접촉과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이 지역에 고립되었던 한민족 구성원들이 모국과 사회·文化적 교류는 물론 경제적 차원에서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그 결과 상당수의 한민족 구성원들이 생존과 독립투쟁을 위해, 혹은 일제에 의한 강제징집으로 인해 조국을 떠나 살게 되는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다른 나라에서 한민족 구성원들이 중대한 신변의 위협을 당하거나 법적·사회적 discrimination을 받는 사태가 발생해도 한국 정부가 재외동포들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따 그러나 china이 1978년부터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고, 1989년 이후에는 동구권의 붕괴로 인해 공산진영이 자본주의 세계질서로 통합되면서 새로운 가능성이 나타나기 처음 했다. 말하자면 한민족의 구성원들이 china, 러시아, Japan, 미국 등지에 널리 분산되어 살고 있으나 한국의 국가는 이들의 안전, 인권, 복지 등에 관해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아시아 중추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성경륭 (정책기획...
인문사회 한민족 공동체 아시아 중추 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 아시
아시아 중추국가의 민족적 기반 한민족네트워크공동체 구축 성경륭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한림대학교 교수) I. 서론 한민족 통합과 중추국가 발전의 새로운 전기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은 근대 민족국가 건설과 산업자본주의의 발전이라는 두 가지 근대화 과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데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지난 한 세기 반 동안 진행된 민족분산으로 말미암아 해외에 살고 있는 한민족은 1999년 1월 현재 142개국에 564만 여명에 달하게 되었다 (외교통상부, 1999 27).1) 그런데 이처럼 광범위한 분산으로 인해 ‘민족의 범위’와 ‘국가의 범위’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 보다 정확하게는 민족의 범위가 국가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