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4 23:41
본문
Download :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hwp
다만 이의민은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하지 못하고 최충헌에 의해 타도됨으로써, 단명한데 반해, 최충헌은 이의민 제거 이후 동생인 최충수와 생질인 박진재까지 제거함으로써, 권력을 자손에 세습했다는 차이가 있다 이하 두 사람의 사환로와 그 지향을 비교함으로써 당시 격변했던 신분변동과 정치적 변동의 과정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李義旼은 아버지가 소금장수요, 어머니가 옥령사의 寺婢였다. 최충헌이 무반으로 전향한 것은 무신정변이 일어난 이후였다. 반면 최충헌은 아버지가 상장군을 역임했고, 그 자신도 무신정변이 일어나기 이전 이미 음서로 관직에 진출해 있었다.
명종 3년 대장군으로 의종 살해
명종 14년 이의민 중앙 정계로 복귀(공부상서)→수사공좌복야로 승진
Ⅰ이의민
1. 성장과 집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명종초 중랑장, 장군으로 고속 승진
명종 24년 공신 책봉. 이 때부터 전주권(관리 임면권) 단독으로 장악.
Download :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hwp( 73 )
李義旼(?~1196:명종 26)과 崔忠獻(1149:의종3~1219:고종6)
설명
의종대 의종의 총애를 받아 대정에서 별장으로 승진(手搏)
순서
명종 26년 최충헌․최충수 형제의 쿠데타로 피살.
안찰사 金子陽에 의해 체포되어 형 2인은 杖殺, 그는 김자양에 의해 京軍 입대.
명종 8년 서북로병마사로 조위총의 餘黨 토벌
명종 4년 조위총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상장군 승진
명종 9년 경대승의 집권- 이의민과 경대승은 상당히 불편한 관계
? ~의종대 경주출생. 父(李善) 소금장수, 母 노비. 청년기 형 2인과 경주에서 무뢰배 생활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162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B%AC%B4%EC%8B%A0%EC%A0%95%EB%B3%80%EC%86%8D%EC%9D%98%20%EC%9D%B4%EC%9D%98%EB%AF%BC%EA%B3%BC%20%EC%B5%9C%EC%B6%A9%ED%97%8C-1627_01.gif)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162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B%AC%B4%EC%8B%A0%EC%A0%95%EB%B3%80%EC%86%8D%EC%9D%98%20%EC%9D%B4%EC%9D%98%EB%AF%BC%EA%B3%BC%20%EC%B5%9C%EC%B6%A9%ED%97%8C-1627_02_.gif)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162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B%AC%B4%EC%8B%A0%EC%A0%95%EB%B3%80%EC%86%8D%EC%9D%98%20%EC%9D%B4%EC%9D%98%EB%AF%BC%EA%B3%BC%20%EC%B5%9C%EC%B6%A9%ED%97%8C-1627_03_.gif)
![[역사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162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C%97%AD%EC%82%AC%ED%95%99%5D%20%EB%AC%B4%EC%8B%A0%EC%A0%95%EB%B3%80%EC%86%8D%EC%9D%98%20%EC%9D%B4%EC%9D%98%EB%AF%BC%EA%B3%BC%20%EC%B5%9C%EC%B6%A9%ED%97%8C-1627_04_.gif)

명종11년 형부상서(경대승 집권기)
※ 경대승- 상장군 경진의 子. 무신정변 이전의 질서로 회귀를 도모.
[歷史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다.
[歷史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명종11년 4월 경대승과의 알력으로 경주로 퇴거.
명종 20년 동중서문하평장사판병부사로 승진. 아마 2-3년 이전에 이미 최고집권자가 된 듯.
[역싸학]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무신정변속의 이의민과 최충헌
명종 13년 경대승 사망.
명종 23년 김사미의 반란, 이의민의 子 이지순이 장군으로 토벌전에 참전. 《고려사》의 기록에 의하면 이의민․이지순이 김사미의 반란을 후원했다고 하나 증거가 미비.
두 사람의 출신은 매우 대조적이다. 하지만 두 사람은 모두 고려의 최고집권자의 위치를 역임했다. 이의민이 하층계급에서 상승한 인물이라면, 최충헌은 무반귀족 출신이었다. 두 사람의 출신기반은 매우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