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쟁과사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02 10:56
본문
Download : 당쟁과사화.hwp






다. 북인은 명청교체기에 광해군을 도와 실리적인 중립 외교 정책을 펴나갔다.
한편 남인은 호란 이후 서인정권이 추구한 무리한 북벌운동을 비판하면서“예송(禮訟)논쟁
“(유교적 예절에 관한 논쟁)을 일으켜 서인들과 대립하였다. 이 사건을 `기해예송`(1660)이라고 한다. 남인은 효종의 어머니인 조대비의 3년상을, 서인은 1년상을 주장하였는데 서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남인은 실각하였다. 그러나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서인의 인조 반정(1623년)이 성공을 거두면서 대부분 역적으로 몰리고 이후 영영 권력의 밖으로 쫓겨났다. 이후의 붕당정치는 서인과 남인의 대립으로 이어졌다. 임진왜란 직후 북인이 권력을 잡았으나 곧 대북(大北)과 소북(小北)으로 나뉘어졌다. 광해군시대에는 그의 즉위를 지지한 대북이 정권을 독점했으나 대북은 또 다시 골북(骨北)과 육북(肉北)으로 나뉘어졌다.당쟁과사화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당쟁과사화
설명
이후 남인(온건파)과 북인(강경파)으로 나뉘었다. 그 후 효종비가 상을 당하여 또 한 번 대비의 복…(생략(省略))
당쟁과사화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
효종이 상을 당하여 대비의 “복제(服制, 상복을 입는 기간)문제”를 둘러싼 남인과 서인간의 예송논쟁은 효종이 장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당쟁과사화 , 당쟁과사화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당쟁과사화.hwp( 14 )
당쟁과사화에 대해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