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6 00:09
본문
Download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hwp
,인문사회,레포트
송강 가집의 판본을 고찰한 자료입니다. 그리고 말미에는 정천의 근서와 정관하의 추기 등 두 발문이 붙어 있따
2) 의성본 : 소위 이선본이라 불러왔던 이 의성본은 방종현 소장 유日本 으로 사주단변유계, 반광 22×19㎝, 매면 10행, 매행 20자, 단권 26장이다.
“송강가사”라는 권제가 없이 바로 관동별곡으로 스타트하여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가 이어지고, “단가”라는 표시가 없이 시조 51수가 실려 있따 물론 시조 51수 가운데는 경민편의 훈민가 16수가 앞부분에 배열되어 있따 성주본보다는 25수나 시조가 적게 실려 있지만 성주본에 없는 시조가 이 판본에 3수가 실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순서
1) 성주본 : 이 판본의 서지를 살펴보면 사주쌍변유계, 반광 23×13㎝ 매면 8행, 매행 16자, 2권 1책, 44장이다. 상, 하 두 권으로 나누어서 상권에는 가사를, 하권에는 시조를 실어 놓았다.송강가집의판본고찰12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Download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hwp( 88 )
송강 가집의 판본 고찰






레포트/인문사회
송강가집의판본고찰12
다. 상권은 “송강가사상”이라는 권제로 스타트하여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장진주사 순으로 실어 놓았고, 하권은 “송강가사하”라는 권제로 스타트하여 “단가”를 실어 놓았는데 여기에 실린 시조는 경민편 소재 16수와 기타 시조 63수 등 총 79수이다.
송강 가집의 판본을 고찰한 자료(資料)입니다.